복합쇼핑몰 적정 개수 1~2개로 응답

광주 6개 선거구에서 강기정 광주시장의 복합쇼핑몰 추진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부정적인 평가보다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지역 복합쇼핑몰의 적정 개수로는 1~2개라는 응답이 많았다.
4·10 총선을 100여일 앞두고 무등일보와 뉴시스 광주전남본부, 전남일보, 광주MBC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코리아리서치가 지난해 12월26일부터 29일까지 광주 동남갑, 동남을, 서구갑, 서구을, 북구을, 광산구갑 등 6개 관심 선거구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3천25명을 대상으로 '강기정 시장 복합쇼핑몰 추진 평가'와 '복합쇼핑몰 적정 개수'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강 시장의 복합쇼핑몰 추진에 대해 6개 선거구 모두에서 긍정 평가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긍정(매우+잘하고 있는 편) 평가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66%, 동남을 64%, 서구갑 64%, 서구을 63%, 북구을 60%, 광산구갑 66%를 차지했다. 반면 부정(매우+잘못하고 있는 편) 평가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25%, 동남을 27%, 서구갑 26%, 서구을 28%, 북구을 30%, 광산구갑 25%에 그쳤다.
'모름·무응답'은 광주 동남갑 10%, 동남을 9%, 서구갑 9%, 서구을 9%, 북구을 10%, 광산구갑 9%다.
광주지역 복합쇼핑몰 적정 개수에 대한 물음에는 1개와 2개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복합쇼핑몰 1개가 적정하다'고 본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35%, 동남을 41%, 서구갑 40%, 서구을 40%, 북구을 39%, 광산구갑 37%로 조사됐다. '복합쇼핑몰 2개가 적정하다'고 본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40%, 동남을 35%, 서구갑 35%, 서구을 32%, 북구을 34%, 광산구갑 35%였다.
'복합쇼핑몰 3개 이상'이라고 본 응답자는 광주 동남갑 18%, 동남을 16%, 서구갑 18%, 서구을 19%, 북구을 19%, 광산구갑 20%에 그쳤다. '모름·무응답'은 광주 동남갑 7%, 동남을 8%, 서구갑 7%, 서구을 8%, 북구을 9%, 광산구갑 8%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안심)번호(100%)를 이용한 전화면접조사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동남갑 15.6%, 동남을 17.2%, 서구갑 13.9%, 서구을 13.0%, 북구을 15.5%, 광산구갑 16.4%다. 표본오차는 광주 6개 선거구에서 각각 95% 신뢰수준에 ±4.4%p다.
통계보정은 2023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기준에 따라 성·연령·지역별 가중치(셀가중)를 부여해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무등일보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광주·전북은행 공동전산센터, 광주 추가 건립 4월 초 결정 광주은행 전경 전주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키로 했던 JB금융지주가 광주은행 노조 측의 강력 반발로 광주에도 해당 전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해당 사안은 이르면 내달 초 이사회에서 결정될 전망이다.23일 지역 금융업계에 따르면 JB금융그룹은 내달 초 그룹 지주 이사회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안을 상정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당초 JB금융그룹은 670억원을 들여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에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공동전산센터 건립을 추진할 계획이었다. 이는 앞서 두 은행의 전산센터 운영 취약점을 개선하라는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대한 후속 조치였다.이와 관련, 광주은행 노조 측은 두 은행의 전산센터 통합을 '하나의 은행으로 가기 위한 원 뱅크(One Bank) 준비 단계'로 규정하고 강도 높은 저지 투쟁을 이어왔다. 그러면서 광주지역에 공동전산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방안을 건의했다.JB금융그룹은 전산망 안전 운영 등을 고려해 광주에도 공동전센터를 추가 건립하는 노조의 건의 사항을 적극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광주은행 노조 측은 "공동전산센터를 2개 체제로 가는 부분에 대해서 상호 공감을 하고 있다"며 "이사회 의결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밝혔다.광주에도 새로운 센터가 건립되면,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데이터를 저장한 전산센터가 전주와 광주에 각각 생기게 된다. 광주 입지는 앞서 전주 탄소소재 산단과 경합했던 '광주 첨단3지구 내 AI(인공지능) 융복합지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광주은행 관계자는 "공동전산센터를 광주에도 추가 건립하는 방안에 대해 그룹 차원에서 검토 중"이라며 "이사회를 통해 결정될 사안"이라고 말했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상춘객 와야 하는데 구제역···'웃픈' 봄맞이
- · 홍콩거리·와이즈파크 개발 '난항'···충장상권 활성화 차질빚나
- · 광주·전남 1인가구 증가···경제 발전 불균형 우려
- · 광주 휘발유 최저 1천500원대 진입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