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하석의 '발견과 되새김'] 버려진 책들은 어디로 쌓이나?
2023.01.17@ 이하석 -
[김준형의 외교광장] 계묘년의 국제정세를 읽다미국의 최근 대아시아 전략은 한-미-일3각 군사협력의 본격화에 맞춰져 있으며,최근 한일 정부는 이러한 미국의 전략에적극적으로 공명한다. 무엇보다 윤석열 정부는진영편향과 가치 외교에2023.01.09@ 김준형
-
[이정우의 '우문우답'] 미국 학교 풍경아이들에게 일일이 '굿 모닝' 하면서인사를 하는 사람은 교장, 교감이었다매일 이 일을 하다 보니 웬만한아이들의 이름을 다 외우고 있었다학교의 교장, 교감만 훌륭한 것이 아니고,교사2023.01.03@ 이정우
-
[강준만의 '易地思之'] 왜 한국 정치는 4류일까?2022.12.27@ 강준만
-
[이하석의 '발견과 되새김'] 저무는 해를 돌아보며 갖는 비관과 낙관들이젠, 아무 생각 없이, 그냥마스크를 챙기고, 쓴다. 그래야 마음이놓이는 걸까? 이런 일상의 모습은 조금떨어져서 보면 기이한 풍경인데, 인간들은그래도 적응력 하나는 끝내준다는 생각2022.12.20@ 이하석
-
[김상봉의 '신파와 미학 사이'] 서정주와 고은사람의 행적이 아름다움을 판단하는 기준으로군림하게 되면 시는 필경 그 사람의 그늘에서희생되게 마련이다. 왜냐하면 어떤 시인도자기가 쓴 시처럼 아름다운 삶을 살 수는 없기 때문이다삶2022.12.14@ 김상봉
-
[이정우의 '우문우답'] 큰절에 대하여큰절이 언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정착됐는지는 모르겠다. 예의염치를중시하는 유교의 영향 같기도 하고,절에 가면 사람들이 부처님 앞에서큰절을 하는 걸 보면 불교의 영향같기도 하다. 큰2022.12.06@ 이정우
-
[강준만의 '易地思之'] 증오·혐오를 파는 상인들을 경계하라2022.11.29@ 강준만
-
[이하석의 '발견과 되새김'] 가을, 참사에 우리가 무너지다'우리 아이들'의 삶이 자유와는거리가 먼 감시와 처벌의 구조 속에서경쟁 관계로 구속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다그 '구속'이 풀리는 마법과도 같은 것의상징이 '할로윈 축제'라 할 수 있2022.11.22@ 이하석
-
[김상봉의 '신파와 미학 사이'] 예술가와 군인
2022.11.15@ 김상봉 -
[이정우의 '우문우답'] 살아남은 자의 슬픔
2022.11.08@ 이정우 -
[강준만의 '易地思之'] '국정감사 쇼'의 대상은 김의겸에게2022.11.01@ 강준만
-
[이하석의 발견과 되새김] 일상의 그물망 속 위기와 상실카카오를 비롯한 네트워크의 '독과점'에대한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먹통 사태'를계기로 'IT 공룡'의 실상이 드러났다고도 했다관련 제도 마련이 시급하다는 생각이절실하게 든다. 이2022.10.25@ 이하석
-
[김상봉의 신파와 미학 사이] 모방하는 예술과 응답하는 예술서양에서는 많은 학자들이 '미메시스',즉 모방하는 것이 예술의 본질이라고생각해 왔다. 플라톤은 '국가'에서 예술적모방을 거울의 반영 같은 것이라면서,예술이 보여주는 것이 존재의 진2022.10.18@ 김상봉
-
[이정우의 '우문우답'] 브라질의 룰라룰라는 초등학교 5학년 때 학업을포기하고 평생 철강공장에서노동자로 일했다. 그는 원래 정치에는무관심했고, 오직 축구에 미쳤던보수적 청년이었으나 결혼 뒤 첫 아이의출산 중에 의료사고2022.10.11@ 이정우
-
[강준만의 '易地思之'] 바보야, 문제는 '성격'이야!2022.10.05@ 강준만
-
[이하석의 '발견과 되새김'] 예술가들이 남기는 것들의 가치이번에 윤복진의 관련 자료가 무더기로쏟아져 나온 것은 얼마나 다행한가?이는 최근 두드러지고 있는 각 지자체들의아카이브에 대한 관심의 결과이기도 하다문화예술 활동의 고양과 지원도 필2022.09.27@ 이하석
-
[김상봉의 '신파와 미학 사이'] 서정시와 타인의 고통서정시가 묘사하는 대립은 인간 내면의대립과 갈등이다. 여기서 시적 화자는자기 자신과 대립한다. 레스보스 섬의시인 사포가 보여주는 전형적인 서정시적대립은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의 대2022.09.20@ 김상봉
-
[이정우의 우문우답] 대학입시의 근본적 개혁
2022.09.14@ 이정우 -
[강준만의 '易地思之'] 가난한 유권자는 언론과 그루밍의 피해자였나?지난 대선에서 놀랍거나 이상하게생각해야 할 일은 가난한 사람들 중에서민주당에 표를 준 사람들도 많았다는점일지도 모른다. 이게 연구 대상이되어야지, 자기 이익과 가치에 따라민주당에2022.09.06@ 강준만
공감 많은 뉴스
- 1광주 금남로 고층 오피스텔서 30대 추락사
- 2'삽 뜨는' 더현대 광주, 정 대표이사 "시민들, 기대하셔도 좋다"
- 3"땀샘 없는 오리, 더위에 취약···폭염 빨라지면서 죽을 맛"
- 4광주 제석산 구름다리서 또 추락사···올해만 세 번째
- 5광주 북구서 행패부린 30대 취객 검거
- 6'진학·주전보장' 빌미 금품 받은 초교 야구부 김독 '첫 재판'
- 7무등일보, 포털 다음(Daum) 하루 조회수 12만...관심 기사는
- 8무면허로 킥보드 타던 10대들, 승용차와 충돌···1명 중상
- 9광주 복합쇼핑몰 더 현대 광주 착공 보고회
- 10[인터뷰] 조인철 의원, "사람이 모이는 광주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