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칼럼] 인간과 야생밀의 공진화로 탄생한 빵순이의 빵밀■김용근의 잡학카페모든 생명체는 혼자 홀로 나만이 살아갈 수가 없다. 생명은 빛나는 광채가 아니라 생존을 위해 다른 생명의 죽음을 딛고 피는 검은 꽃이다. 또한 이 꽃은 생존하기2024.08.11@ 김용근
-
[문화칼럼] 외국인 교수·학생들이 전남대에 오게 된 사연■신경구의 포용도시2024.08.04@ 신경구
-
[문화칼럼] LLM을 넘어 온디바이스 AI로-(41)김경수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2024.07.28@ 김경수 -
[문화칼럼] 정신이 나간 자리에 혼꾸멍이 희망이다.■김용근의 잡학카페'작은 거인'이라 불리던 가수 김수철이 30여년 전에 부른'정신 차려'라는 곡이 대히트를 쳤다. 노래의 핵심 의도는 후렴구에 '여보게 정신 차려 이 친구야' 라는2024.07.21@ 김용근
-
[문화칼럼] 통일 베를린에서 통일을 호명하는 걸개그림정현주 전시 공동기획자·포도나무아트스페이스 대표
2024.07.15@ 무등일보 -
[칼럼]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교육 백년지대계-(40)■김경수의 디지털리터러시
2024.07.07@ 김경수 -
[문화칼럼] 분노하면 사랑은 사라진다■김용근의 잡학카페진화 원리 중 하나인 적자생존의 경쟁은 늘 유리하지는 않다. 경쟁과 협동이 함께 움직일 때 생존에 더 유리하다. 경쟁과 협동을 병행하려는 생명체는 인간처럼 타자의2024.06.30@ 김용근
-
[문화칼럼] 콜롬버스주립대 학생과 교직원이 광주에 온 사연■신경구의 포용도시
2024.06.23@ 신경구 -
[칼럼] 음식 배달앱 문화와 무료배달 경쟁-(39)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24.06.16@ 김경수 -
[칼럼] 소멸로 존재하는 하루살이의 소명
2024.06.09@ 김용근 -
[문화칼럼] 광주국제교류센터가 포용 모델된 사연■신경구의 포용도시
2024.06.02@ 신경구 -
[공연리뷰] 저력 응축된 국제적 수준의 컨템포러리발레공연리뷰-시립발레단 'DIVINE'
2024.05.29@ 심정민 -
[칼럼] 모바일 선물 문화와 선물의 본질 - (38)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24.05.26@ 김경수 -
[문화칼럼] 선율로 재탄생한 오월 문학리뷰-5·18창작 오라토리오 ‘빛이여 빛이여 빛고을이여’
2024.05.13@ 강은희 -
[칼럼] 산업혁명과 문화혁명의 의미-(37)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24.04.28@ 김경수 -
[공연 리뷰] 기억과 경험의 사유공연리뷰-이머시브 연극 ‘FOOD’
2024.04.24@ 유형민 -
[칼럼] 선택의 시간, 노새와 버새■김용근의 잡학카페진화과정에서 가깝고 비슷한 혈연의 계통을 순종과 동종이라 한다. 순종에서 벗어나 먼 잡종들 사이의 조합의 잡종이 생존력과 번식력에서 양친보다 유리하고 우수하다.2024.03.31@ 김용근
-
일상 속 휴식 가능한 건축적 산책 공간대구 군위 사유원 답사기
2024.03.26@ 김혜진 -
[칼럼] 이주 노동자와 원어민 교사의 만남■신경구의 포용도시광주시청의 제안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국제교류센터가 1999년에 창립된다. 광주교류센터는 재정지원이 넉넉하지 않았기 때문에 광주 시민들의 후원은 물론 외국인 회원들2024.03.24@ 신경구
-
[공연 리뷰] 일본인의 양심으로 전한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진상연극 '봉선화 Ⅲ' 공연 후기
2024.03.03@ 유형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