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애니메이션·교육·보안 등 다양한 분야 구성 '눈길'
투자자, 기업인 더해 인공지능 관심 대학생, 시민도 참여
창업기업 제품 소개 기회, 참여자도 AI 정보 얻어 유익

"다양한 분야의 창업 제품에 AI가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직접 보고 체험도 해볼 수 있어서 좋네요."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이틀간 진행되는 'AI TECH+2024' 전시와 '2024 광주창업페스티벌'이 첫 날부터 투자자, 기업인을 비롯해 AI에 관심있는 대학생, 시민 등이 몰려들면서 큰 호응을 받고 있다.
28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는 'AI TECH+2024' 전시와 '2024 광주창업페스티벌'에 참여한 기업·기관의 부스 80여개가 마련됐다.
방문객들은 SK텔레콤, 구글 클라우드, 삼성 C-Lab 등 대기업 부스와 옵토닉스, 호원을 포함한 강소기업 부스를 오가며 제품 설명을 듣거나 체험에 참여하느라 여념없는 모습이었다.
뿐만 아니라 농업, 애니메이션, 교육, 시스템 보안 등 여러 분야의 창업기업이 AI를 접목시킨 기술·제품들을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인공지능 펫 하우스로 이번 행사에 참여한 창업기업 '디어디어' 부스에는 애견인들과 반려동물 산업에 관심있는 투자자들이 모여들었다.
디어디어 관계자는 "비접촉 레이더 센터를 통해 반려동물의 호흡과 심박, 체온을 측정해 모니터로 확인할 수 있고, 온풍·송풍으로 반려동물에게 최적의 환경을 유지해주는 상품을 소개하고 있다"며 "투자자가 아니더라도 환견(아픈 강아지)을 키우고 있는 분들이 관심을 보이셔서 해당 상품을 실증하고 있는 체험 장소를 안내드리고 있다"고 말했다.

대학생 김모씨(20)는 "전북에서 대학교를 다니고 있는데 AI 관련 창업기업들이 모이는 행사가 있다는 소식을 듣고 왔다"며 "생명공학을 전공해 바이오 분야에 AI를 접목시키는 데 관심이 있다. 관심 분야가 아니더라도 펫 산업, 농업 등에 AI를 활용하는 사례를 볼 수 있어서 유익했다"고 했다.
특히 AI로 사진을 편집해주거나, 심리상담을 해주는 등 체험 부스들이 방문객들로부터 인기를 끌었다.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사진을 찍으면 설정한 콘셉트에 맞게 머리 모양, 옷차림, 배경 등을 AI가 자동 변환해주는 기계를 부스에 설치해 이를 이용하기 위한 사람들로 긴 줄이 서기도 했다.
장진우(29)·서덕현(32)씨는 "대학원에서 생명과학을 연구하고 있다. 스마트팜 등 사례들을 접하면서 AI 활용 분야가 얼마나 다양한지 알 수 있었고, 실제로 체험해 보니 재밌었다"며 "연구 분야에 AI를 어떻게 적용하면 유용할지 고민했는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공공분야에서의 AI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타지역에서 방문한 사례도 있었다.
세종시에서 온 한 공무원은 "AI분야에 관심이 있어 왔다"며 "지자체의 공공분야에 AI를 적용할 수 있는 아이템과 사례를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지역 중장년 60% 이상 일터로···노후는 '공적연금·저축'에 집중 뉴시스 광주와 전남 지역 중장년층의 절반 이상이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가운데 노후 준비는 공적연금과 예·적금, 저축성 보험에 집중되는 양상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호남지방통계청이 10일 발표한 '통계로 본 호남제주지역 중장년'에 따르면 2020년 대비 2023년 광주 중장년(40~64세 인구) 인구 수는 57만2천명에서 57만4천명으로 0.4% 증가했다.연령별 비중은 50대가 41.9%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39.4%, 60대가 18.7% 가 뒤를 이었다.전남은 68만5천명에서 68만4천명으로 중장년 인구가 0.2% 감소했다. 연령별 비중은 50대 43.0%, 40대 33.7%, 60대 23.4% 순으로 많았다.같은기간 등록취업자는 광주가 38만5천명에서 39만8천명으로 3.3% 늘었다. 이는 지역 중장년 인구의 69.3%에 해당한다.이중 임금근로자 비율이 78.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비임금근로자 16.6%, 병행근로자 5.2%였다.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임금근로자'의 경우 상위 3개 산업에 제조업(17.6%), 건설업(16.1%), 보건·사회복지(14.1%)가 포함됐다.비임금근로자들은 도소매업(26.4%)에서 종사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숙박·음식점(13.7%), 운수·창고(12.7%)가 뒤를 이어 상위 3개 산업에 들어갔다.반면, 전남 중장년 중 등록취업자는 44만7천명으로 3년새 0.2%가 줄었다. 그럼에도 지역 전체 중장년의 65.4%로 절반 이상이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종사상지위별로는 임금근로자 76.6%, 비임금근로자 18.2%, 병행근로자 5.1% 순이다.전남 중장년 중 임금근로자는 건설업(17.9%), 제조업(17.6%), 보건·사회복지(14.4%) 등에 주로 종사했다.비임금근로자들의 종사 업종은 도소매업(24.4%), 숙박·음식점(18.5%), 건설업(12.4%) 등 순으로 비율이 컸다.중장년 중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한 비중은 광주(82.7%), 전북(80.6%), 전남(79.3%), 제주(78.0%) 순으로 높았다.광주 중장년의 주된 노후 준비 방법은 ▲공적연금 69.6% ▲예·적금, 저축성 보험 13.4% ▲사적연금 6.3% ▲부동산·주식·채권 6.1% ▲퇴직급여·기타 4.6% 등 순이었다.특히 공적연금(5.4%p)과 퇴직급여·기타(0.6%)의 비율이 2020년 대비 각각 증가했다.전남의 경우 ▲공적연금(62.8%) ▲예·적금, 저축성 보험(15.6%) ▲사적연금(10.4%) ▲퇴직급여 및 기타(6.4%) ▲부동산·주식·채권 등 순으로 노후 준비 비율이 높았다.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보증 수요 늘고 부실은 커지고···지역 소상공인 경영 '빨간불'
- · '현대 vs 신세계 vs 롯데' 광주서 10여년만 리턴 매치
- · 시민이 뽑은 소상공인 지원 1순위 정책···경영자금·지역화폐
- · 억누른 광주 공공요금, 도시 지속성엔 '경고등'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