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50대 남성과 60~70대 여성 비율 높아
임시·일용근로자 비중 높고 월소득 수준 낮아
다인가구 달리 교육, 통신, 차량 등 소비 적어
"소비 다양한 다인가구 전환 위한 정책 필요"

광주·전남의 1인가구 비율이 2050년까지 40%대를 넘을 것으로 전망되면서 이에 따른 소비·산업 구조 변화에 대응할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인가구의 안정적인 고용과 주거지원 확대 등을 통해 지역내 다양한 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한다는 것이다.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가 18일 발표한 '광주·전남지역 1인가구 현황과 소비지출 영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전국 평균 1인가구 비율은 35.5%다. 광주는 36.5%, 전남은 37.1%로 조사됐다.
광주는 30~50대 남성과 60대 여성이 차지하는 1인가구 비율이 높았다. 전남도 30~50대 남성과 70대 이상 여성에서 1인가구가 많았다.
이들의 혼인 여부를 살펴보면, 20~40대에서는 초혼 연령 상승으로 미혼 비중이 높았다. 50~60대는 이혼, 70대 이상은 사별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이 다인가구보다 높아 수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이 높을 수록 소득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두 지역의 1인가구 임시·일용근로자 비중은 각각 31.5%로 다인가구(광주 14.7%·전남 11.7%)보다 높았다.
광주 1인가구 월평균 소득은 128만3천원으로, 다인가구 월평균 소득(206만3천원)의 62.2% 수준에 머물렀다. 전남 역시 1인가구 월평균 소득은 103만9천원으로 다인가구 월평균 소득(158민6천원)의 65.5% 수준이다.
주택 점유형태는 두 지역 모두 자가비율이 다인가구보다 낮았고, 월세 비중이 높았다.
광주 1인가구의 자가비중은 35.7%로 다인가구(73.3%)의 절반 수준이었고, 전남도 58%로 다인가구(77.8%)보다 낮았다. 반면 월세 비중은 광주·전남 각각 47.4%, 25.2%로 다인가구(광주 14.3%·전남 9.8%)보다 높았다.
소비 영역에서는 1인가구가 다인가구보다 1인당 평균소비지출이 높았으며, 주로 식비와 주거비, 보건의료비에서 다인가구보다 소비가 컸다. 반면 교육비, 차량유지비, 통신비 등에서는 다인가구보다 소비가 적었다.
한은 측은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이같은 소비항목 차이는 지역 내 산업 구조의 변화를 유발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향후 1인가구 증가가 지역 경제 성장과 복지 수요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므로 1인가구의 경제적 특성과 소비지출을 고려한 종합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은 측은 ▲1인가구의 고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 기업 유치 통한 고용 기회 확대, 공공·민간 부문의 노인 일자리 확대 등 ▲청년들이 주거 안정성이 결혼·출산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금융지원, 공공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 주거 지원 정책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안지연 한국은행 광주전남본부 경제조사팀 과장은 "다인가구가 교육, 통신, 차량 등으로 소비를 다양하게 하고 있다. 생산을 유발하면 고용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1인가구 증가는 경제에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결혼과 출산을 장려하는 방향의 정책을 펼치면 이들이 다인가구로 넘어가 다양한 분야의 지역 경제가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폐점 예정' 홈플러스 순천풍덕점, 고용 불안 어쩌나 홈플러스.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가 최근 임차료 조정 협상이 결렬된 일부 지점에 계약 해지를 통보한 가운데 지난해 부지를 매각한 순천풍덕점도 사실상 폐점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명확한 폐점 시점은 나오진 않았지만 해당 부지를 매입한 부동산 개발사가 부지 개발에 나서게 되면 영업을 종료해야만 하는 상황에 놓이면서 직원들의 고용불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10일 홈플러스에 따르면 지난해 부동산 개발사인 퍼스트씨엔디㈜에 7층 규모(토지면적 1만2천218㎡)의 순천풍덕점을 400억원가량에 매각했다.폐점 예정 점포인 순천풍덕점은 KTX순천역이 차량으로 3분 거리에 있는 역세권 상업지대에 위치해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홈플러스는 세일앤리스백(Sale & Lease back·매각 후 재임대) 방식을 통해 퍼스트씨엔디㈜가 해당 부지를 개발하면 재입점을 목표로 하고 있다.통상 건물 매각 후 자산 유동화하고 나면 1~2년에서 최대 3년 정도 시간이 흐른 후 영업을 종료하게 되므로 향후 2년 안에는 영업이 종료될 것이란 예상이 나오기도 했다.하지만, 부동산 경기가 침체되면서 명확한 개발 계획과 시점은 현재로선 미지수다.이같은 불확실성 속에 직원들의 고용 불안도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특히 최근 홈플러스와 임차료 조정 협상이 결렬된 지점의 무더기 폐점 가능성이 커지면서 실제 직원들이 이동할 수 있는 선택지도 줄어든 데다 현실적인 근무지 전환배치 계획이 나오지 않고 있어서다.홈플러스 노조는 "회사는 1~3지망 희망지 배치 계획을 언급하지만 실질적으로 갈 수 있는 점포는 거의 없다"며 "결국 여러 점포를 옮겨 다니다 퇴직하라는 말처럼 들린다"고 호소했다. 실제 순천에서 운영 중인 지점은 순천점과 순천풍덕점 두 곳 뿐이다.홈플러스 관계자는 "현재 순천풍덕점 직원들은 인근 지점을 통해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며 "인근 지역으로 순환 배치할 경우 생길 불편에 대해서는 고용안정 지원제도를 통해서 경제적 지원까지 하는 것으로 고용을 유지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 계란 한판 8천원 돌파···"오른 가격, 연말까지 지속될듯"
- · AI 품은 투명교정···치과 치료가 달라졌다
- · "취업난·인재난 해결 위해 지역 상장기업 육성"
- · 쓰레기로 연주한 희망···광주 한중 업사이클 음악회 '눈길'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