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이전 '2030년 가능할까'

입력 2024.11.13. 15:11 도철원 기자
■빛그린산단 부지 계약 의미와 전망
2029년 10월 30일까지 소유권 취득
개발사업자 확정땐 취득시점 빨라져
1조원대 개발 위해선 경기 회복 중요
회사측 “중장기 관점으로 방안 마련“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전경. 금호타이어 제공

금호타이어가 지난달 30일 빛그린산업단지 50만㎡(15만 1천250평) 매입 계약을 체결하면서 광주공장 이전 문제가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공장 이전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갈수록 커지면서 이전 부지에 어떤 시설을 들어서는 것이 좋을지에 대한 설문조사까지 이뤄지는 등 이전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실제로 공장을 이전하기 위해서는 1조 원대 이상으로 추정되는 이전 비용을 마련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충족돼야만 가능하지만 현재로선 쉽지만은 않은 상황이다.

◆실적 회복 불구 이전비용 마련 어려워

오랜 기간 어려움을 겪어왔던 금호타이어 실적은 지난해부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금호타이어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4조 414억 원, 영업이익 4천110억 원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도 대비 매출액은 13.5% 늘었으며 영업이익은 1천578.5% 늘어난 수치다.

한때 분기별 영업이익이 5억 원이 그 칠 정도로 어려움을 겪었던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매출 4조 원대를 기록했다.

올해 매출 목표를 4조 5천600억 원으로 잡은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4분기 매출액 1조 609억 원, 영업이익 1천721억 원을 기록한 이후 올해 3분기까지 매분기마다 매출액 1조 원대, 영업이익 1천400억~1천500억 원대를 유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금호타이어는 지난해 연말 기준 1년 이내 갚아야 하는 유동부채가 전체 부채의 절반 수준인 1조 8천800억대에 이르는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 처해 있다. 이런 상황에서 1조 원대로 추정되는 공장 이전 비용을 마련하기 위해선 최소한 지금과 같은 호황기가 상당기간 유지돼야만 가능하다는 이야기다.

금호타이어 측에서 공장이전 비용 마련을 위해 현 공장 부지 매각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 역시 지금과 같은 매출 증가세가 계속된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이다.

◆ 현 부지개발 사업자 확정시 이전 '탄력'

공장 이전 사업은 지난 2021년 미래에셋증권과 현대건설, 중흥토건으로 구성된 미래에셋증권 컨소시엄을 광주공장 부지 인수 및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면서 본격화됐다.

당시 금호타이어와 미래에셋증권컨소시엄은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단계에서 광주공장 부지 매각대금을 1조 4천억 원에 합의하기도 했지만 경기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시점과 맞물리면서 2022년 12월 본계약이 최종 무산되면서 공장 이전 문제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금호타이어는 부지 개발사업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됐던 2021년 LH와 '광주공장 이전 부지 조성사업을 위한 협약'을 맺고 116억 원의 협약이행 보증금을 지급하는 등 일종의 가계약을 체결했지만 부지개발 사업이 원점으로 돌아가면서 이전부지 매매계약이 진행되기까지 3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금호타이어는 거래대금 1천160억 8천417만 원 중 이미 지급한 계약금 116억 원을 제외한 잔여 금액을 2029년 10월 30일까지 분할 납부하고 토지 소유권을 취득하게 된다.

이는 2029년 10월 30일까진 빛그린산단 부지에 대한 소유권이 없다는 의미로 공장이전 관련 인허가나 공장 착공은 그 이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 공장 부지 사업자 선정 시기가 빨라진다면 토지 소유권 취득 시기도 달라진다는 것이 금호타이어 측의 설명이다. 토지 대금을 완납하게 되면 그 이전이라도 공장 이전 절차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현 공장 부지 개발 사업자가 확정된다면 잔금 납부 시기도 빨라지고 인허가나 착공 등 공장이전 절차를 밟아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광주시도 현 공장 부지 용도 변경에 대해 '선 공장 폐쇄 후 용도변경'에서 '이전에 대한 확신을 주고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한다면 공장폐쇄 이전이라도 용도 변경을 검토·추진한다'는 입장으로 변화를 보이면서 현 공장부지 매각에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받았던 '용도변경'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가고 있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공장 이전의 선결과제가 현부지 매각인 만큼 현재 새로운 파트너를 모색 중"이라며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하기엔 부동산 경기 등 내수경기가 좋지 않다는 점에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공장 이전 방안을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