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 사인회 및 무등산 보호 기금 전달로 시작
김도영-도니, 변우혁-미녀 변장...좌중 기겁·폭소
"팬들을 웃게 해드리고 싶었습니다. 정말 독하게 준비했습니다."
프로야구 KIA타이거즈의 내야수 변우혁이 남긴 한 마디다. 그 말 그대로였다.
KIA의 12번째 우승을 자축하는 'V12 타이거즈 페스타'가 광주광역시 서구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렸다.
행사는 2024년 KBO리그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이룩한 KIA가 팬들의 열화와 같은 응원에 감사를 전하는 자리로 5천명의 팬들이 함께했다.
금남로 일대에서 카퍼레이드를 마친 선수단은 3시부터 팬 사인회 등을 위해 김대중컨벤션센터로 자리를 옮겨 행사를 준비했다.
행사에 앞서 KIA는 김도영과 윤영철, 최지민이 성적에 따른 누적 금액을 무등산 보호기금으로 무등산국립공원 사무소에 전달했다. 시즌 전 도루 1개에 20만원을 건 김도영은 40도루를 달성해 800만원을, 1승당 50만원을 약속한 윤영철은 7승을 거둬 350만원을, 승·세이브·홀드 당 20만원을 건 최지민은 3승 12홀드 3세이브로 360만원을 기탁했다. 이들의 선행으로 총액 1천510만원이 무등산 보호기금으로 전달됐다.
행사는 선수단과 우승트로피의 입장, 감사인사, 하이라이트 영상상영, 초대가수 이보람의 공연, 다시 외치는 한국시리즈 응원전 등으로 분위기를 달구며 시작됐다.
팬들이 SNS에 남긴 질문에 선수단이 답하는 '갸퀴즈 온더 필드'도 지켜보는 이들의 웃음을 양산했다. 한 팬이 '박찬호 선수 야구하면서 가장 짜릿할때가 언제인지, 본인이 선수단 족구 구멍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질문에 박찬호는 "홈런치고 베이스를 돌며 팬들의 함성을 들을 때가 가장 좋다"며 "족구 구멍이라는 말에 정말 자존심이 상한다. 최형우, 김선빈 형들은 발이 허리로도 안 올라온다"고 답해 웃음을 샀다.
김도영은 '매형 삼고싶은 선배'를 묻는 질문에 투수 황동하를 언급했다. 이유로는 "큰누나와 완전 똑같이 생겼다. 큰누나도 인정했다"고 대답해 폭소를 터트렸다.
최근 인기리에 방송된 '흑백요리사'에서 따온 '흑백호랑이' 코너가 계속됐다. 다양한 미션이 나왔고, 선수도, 팬들도 모두 입에 웃음을 머금었다.
본격적으로 시작된 행사는 선수단의 장기자랑인 'T 카운트 다운'으로 백미를 찍었다. 먼저 2025년 지명된 아기호랑이 11명이 'MZ타이거즈'의 이름으로 김종국의 '사랑스러워'를 추며 막을 올렸다.
이어 투수 유승철과 유지성, 김민주가 조를 이뤄 '잘자요 아가씨' 등을 선보였고 김도현, 황동하, 윤영철이 트와이스의 'CHEER UP'을 추며 팬들의 환호성을 샀다.
공연의 방점은 2024 KBO리그 MVP에 빛나는 김도영이 '도니'로 변장해 '푸른 산호초'를 부르며 찍었다. 김도영은 파란 스트라이프 티에 하얀 치마를 입고 등장해 모두를 깜짝 놀라게 만들었다. 김도영은 노래 중 박자를 놓치기도 했지만 일본어로 1,2절을 완창하며 박수를 받았다. 공연 후 김도영은 "이렇게라도 샤라웃이 하고 싶었다. 목이 아예 나갔다. 꼴등을 예상한다"며 "진짜 얼마 준비 못해 너무 아쉽다"고 너스레를 떨었다.
김도영의 여장으로 끝이 나는 듯 했으나 진짜 '큰 것'이 기다리고 있었다. 내야수 변우혁과 외야수 박정우가 '미녀와 외야수'라는 이름의 2인조 그룹으로 무대에 서 백지영의 '내귀에 캔디'를 완창했다. 특히 변우혁은 185cm의 키에 95kg의 신장이 무색할 정도로 완벽한 여장으로 팬들을 놀래켰다. 그는 "오키나와에서 마무리캠프를 할 때부터 팬분들께 재미를 드려야겠다고 생각했고 한국에서도 독하게 연습했다"고 말했다. 심사위원을 맡은 나성범은 "화장도 잘됐고 미녀가 운동을 열심히 한 것 같다"면서 "옷이 조금 끼인다. 사이즈가 작다"고 평했다.
여기에 투수 이준영과 전상현이 뮤직비디오를 통해 특별 공연을 펼쳤다. 최근 인기를 몰고 있는 로제와 브루노마스의 아파트를 완벽재현했다.
시상식에서는 MZ호랑이가 5위를 차지했고 4위에 도니가 올랐다. 3위는 김도현, 황동하, 윤영철이, 2위는 유승철, 유지성, 김민주의 몫이었다.
대망의 1위는 미녀와 외야수의 변우혁과 박정우가, 특별상은 이준영, 전상현의 주르노마스와 상한로제파스타가 따내는 기염을 토했다.
이후 행사는 걸그룹 아이릿과 힙합그룹 다이나믹 듀오의 공연을 펼쳤고 한명재 캐스터의 나레이션이 가미된 2024 시즌 결산과 선수단의 공연 준비 도중 NG동영상, 양현종의 2025년 쿠키 영상이 이어졌다.
선수단의 무대인사와 기념촬영을 끝으로 V12 타이거즈 팬페스타는 막을 내렸다.
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영상=박현기자 pls2140@mdilbo.com
- [2025년 신년 특집] 'V12' KIA, 타이거즈 왕조 2기 구축 위해 달린다 프로야구 KIA타이거즈의 김도영이 한국시리즈서 홈런을 친 후 베이스를 돌고 있다. KIA구단 제공. ◆'왕조 수립' 위한 전력보강 몰두시즌이 끝난 직후 감독과 단장, 프런트 회의를 여는 등 분주한 발걸음을 옮기고 있는 KIA다.KIA는 시즌 후 열린 FA시장에서 필승조 장현식을 잃었다. 장현식의 잔류를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52억원을 보장한 LG트윈스의 제안을 이기지 못했다. 총액 기준으로 엇비슷한 금액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선수는 보장액에 솔깃할 수밖에 없었다.아쉬운 이별을 했지만 KIA는 '국가대표 마무리투수' 조상우를 영입하며 오히려 불펜을 강화했다. 또 FA권리를 행사한 소속 투수 임기영을 잔류시켰고 또 다른 FA자원 서건창과 협상테이블을 마련하며 전력 유지에 힘쓰고 있다.그 외에도 '평균자책점왕' 제임스 네일을 잔류시켰고 다른 외국인 투수 한 자리는 아담 올러로 교체했다. 지난해 외국인 투수만 5명을 영입한 KIA는 메이저리거급 투수 2명을 안고 선발진을 구축했다. 또 3년째 동행했던 소크라테스 브리토와 결별하는 초강수를 뒀다.3년간 통산 타율 3할2리 63홈런 270타점 40도루에 대체선수대비 승리기여도를 뜻하는 WAR(스탯티즈 기준)은 11.76을 기록한 소크라테스는 지난해에도 타율 3할1푼에 27홈런 97타점으로 KIA의 우승에 크게 일조했다. 그러나 1루수 거포가 필요했던 내부사정 속에 KIA는 그와 이별하고 메이저리그 88홈런 경력을 갖춘 패트릭 위즈덤을 영입했다.올러와 위즈덤 모두 외국인선수 영입 최다액인 100만 달러를 꽉 채운 KIA는 이 둘의 활약을 기대하며 통 큰 투자를 감행했다.여기에 최근 코칭스태프 보직을 확정 지은 KIA는 프로야구 대권 2연패 도전에 본격 시동을 걸고 나섰다.KIA는 지난해 약점으로 지적받았던 수비강화를 위해 마무리캠프에서부터 미츠마타 다이키를 수비 인스트럭터로 초빙했고 기존 1군 수비코치였던 박기남 코치를 2군으로 내려보내는 대신 김민우 코치를 재영입해 중책을 맡겼다. 최다실책팀의 오명을 벗겠다는 결연한 의지다.프로야구 KIA타이거즈가 외국인 투수 아담올러와 계약했다. KIA구단 제공.◆아기호랑이 '꾸준함' 과제이 같은 행보에 해를 바꾼 2025년도 KIA는 가장 강력한 우승 후보다. 그러나 냉정하게 보았을 때 KIA가 2연패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다. KIA가 강해진 만큼 라이벌 팀들 역시 강해졌기 때문이다.가장 먼저 한국시리즈 상대였던 삼성라이온즈는 FA시장에서 최원태와 외국인투수 아리엘 후라도를 영입하며 약점인 선발진을 대폭 강화했다. 삼성은 데니레예스-후라도-원태인-최원태 등으로 이어지는 막강 앞문을 구축하게 됐다.LG 역시 장현식, 김강률의 영입으로 불펜을 강화하는 등 타팀들도 전력을 강화하며 KIA의 아성에 도전한다.이 뿐 아니라 KIA는 자체적으로 지워야 할 물음표가 여전히 남아있다. 일단 2024년 KBO MVP 김도영의 꾸준함이다. 지난 시즌 '역대급 시즌'을 보냈다. 데뷔 전부터 잘할 줄은 알았지만 이 정도로 잘할 줄은 아무도 몰랐다. 타율 3할4푼7리, 38홈런 109타점 40도루에 WAR은 8.51로 리그를 휘어잡았다.데뷔 3년 차에 이 정도 활약을 펼쳤으나 2025년에도 비슷한 성적을 올릴 수 있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그리고 쉽지 않다. 김도영이 어느 정도 성적을 올려주는지가 KIA의 성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마찬가지로 한준수, 곽도규, 김도현, 황동하 등 커리어하이 시즌을 보냈던 선수들이 꾸준한 활약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선발과 불펜, 안방에서 존재감이 뚜렷했던 이들인 만큼 2024년의 성적을 얼마나 유지하는지가 관건이다.패트릭 위즈덤. KIA구단 제공.◆'미친 존재감' 베테랑들 관리도 필요또 다른 물음표는 베테랑들의 존재감이다. '꾸준함'이라는 단어로 젊은 선수들과 궤를 같이 하지만 이들의 꾸준함은 조금은 다르다. 최형우, 양현종, 나성범, 김선빈 등 KIA의 우승에 큰 일조를 했던 베테랑 선수들이 1살씩을 더 먹는다.'불혹의 노장' 최형우는 2024년 타율 2할8푼에 22홈런 109타점으로 4번 타자 역할을 톡톡히 했다. 시즌 중반 부상으로 이탈하기 전까지 타점왕 경쟁에서 앞서며 역대 최고령 타점왕을 기대케 하기도 했다. 여전히 팀 내 존재감이 뚜렷한 만큼 만 42세를 맞이하는 2025년에도 활약이 필요하지만 장담하기는 어렵다.'대투수' 양현종도 29경기에서 171.1이닝을 던져 11승 5패 평균자책점 4.10으로 선발진의 한 축을 책임졌다. 그러나 1988년생으로 만 37세를 맞이하는 올해에도 이와 같은 활약을 펼쳐줄 것인지는 미지수다. 자기관리에 워낙 투철한 양현종이지만 프로 통산 513경기에서 2천503.2이닝을 던졌다. 이닝 혹은 등판 간격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다.KIA의 주장 나성범도 1989년생으로 내년 만 36세가 된다. 지난 시즌 부상 속에 102경기에 출전해 타율 2할9푼1리 21홈런 80타점을 기록했다. 슬래시라인은 나쁘지 않았지만 부상 복귀 후 좀처럼 경기력이 오르지 않아 노쇠화에 대한 우려가 일기도 했다. KIA가 2년 연속 우승을 하기 위해서는 주장이자 중심타자인 나성범의 활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한국시리즈 MVP'에 빛나는 김선빈도 나성범과 동갑내기다. 작전수행이 능하고 컨택이 좋아 어느 타선에 배치되더라도 제 몫을 하는 김선빈이지만 해가 갈수록 2루 수비 범위가 줄어들고 있어 대체할 자원이 필요한 상황이다.프로야구 KIA타이거즈가 2024년 프로야구 우승을 차지했다. KIA구단 제공.◆반드시 피해야할 적 '부상'또 다른 과제는 '부상'이다. 우승을 차지한 2024년에도 KIA는 크고 작은 주축선수들의 부상으로 신음했다.대부분의 부상은 선발진에 집중됐다. 시즌 전 KIA가 구상했던 윌 크로우-제임스 네일-양현종-이의리-윤영철의 선발진에서 양현종을 제외한 4명이 모두 부상을 경험했다.가장 먼저 5월 크로우가 팔꿈치 부상으로 낙마했고 이의리도 비슷한 시기 이탈했다. 윤영철은 허리에 피로골절을 호소하며 시즌 중반 사라졌고 네일은 타구에 턱을 맞는 아찔한 부상을 당했다. 결과적으로 네일과 윤영철은 복귀에 성공했으나 크로우는 방출의 쓴맛을 겪었고 이의리는 재활에 전념하고 있다.이에 황동하와 김도현이 불펜에서 선발로 전환했고 외국인 투수만 5명을 영입하는 등 뛰어난 위기관리 능력을 앞세워 선발진의 붕괴를 막았고 결국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부상 악재는 반드시 피해야 할 요소다.타선에서도 부상자들이 속출했다. 박찬호, 나성범과 최형우, 윤도현, 박민, 이우성 등이 경기 중 다치며 전력 약화를 피하지 못했다. 내년 KIA가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기 위해서는 부상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할 필요가 있다.불펜 교통정리도 필요하다. 비시즌 조상우의 영입으로 기존 마무리 정해영과 포지션이 겹치기 때문. 또 6월 돌아올 이의리의 공백을 메울 선발투수도 발굴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내야의 뎁스도 보다 두껍게 쌓아 올려야 하는 과제도 안고 있다. KIA는 2월부터 이어질 스프링캠프 기간 과제를 해결하며 통합 2연패에 도전하겠다는 각오다.이재혁기자 leeporter5125@mdilbo.com
- · '소문이 사실로' KIA, 라우어 대신 올러 택했다
- · '테스형 대신 위즈덤?' KIA "긍정적 검토 중"
- · 우승팀 자존심 살렸다...KIA 황금장갑 3명 배출
- · '우승팀의 자존심' KIA, 황금장갑 몇명 배출할까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