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신 지음·미술문화·240쪽
'문학은 그림을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중략) 그림이 어떤 시대적 배경 속에서 탄생했는지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 모든 예술은 시대의 산물이자 역사의 오르가논(organon)이다. 프리드리히의 참나무는 나폴레옹 치하 게르만족의 영혼을, 보이스의 참나무는 나치의 과오를 청산한 독일의 미래로 해석된다. 같은 참나무도 시대적 맥락에 따라 그 의미가 변한다. 그림의 속내를 파악하기 위해 역사 공부가 필요하다.'
독일 미술이라는 아름다운 신세계로 초대하는 이 책은 독일 예술 작품 뿐만 아니라 작품을 해석하는데 실마리가 될 역사적 배경과 문학작품을 함께 소개한다. 다른 문화권의 우리가 독일의 예술을 이해하기 쉽도록.
토론 위주 교육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독일은 예술 영역 또한 이를 기반으로 고유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색과 소통이 중심이 되는 이러한 교육 배경은 독일 예술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만들었다. 현재 독일 베를린은 세계적 미술 소통의 장이 됐다. 저렴한 주거비용과 많은 박물관, 미술관 등의 문화 인프라를 기반으로 베를린은 세계 미술가들을 적극 수용했고 모여든 이들은 이곳서 창작 기반을 다졌다. 대가부터 기획자는 물론이고 콜렉터까지 모이게 된 베를린은 독일 미술 세계화의 일등공신이나 다름 없다.
세계 각국 미술가들이 모이게 된 독일 미술은 어떨까. 나치 시절 예술을 억압했던 역사를 성찰함은 물론 표현주의, 바우하우스, 신표현주의 등 독일 특유의 미술사조들은 사회적 맥락에서 지속적으로 복기되고 있다. 마치 거대한 '사색의 미술관'과 같다.
저자는 독일 예술을 역사적 배경, 문학 작품 등을 토대로 '사색의 미술관' 속 작품들을 설명한다. 회화, 조각, 프로젝트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며 독일 예술을 직시함과 동시에 프랑스, 이탈리아 등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은 주변 국가의 미술작품까지 살핀다.
책은 하나의 거대한 미술관이 되어 총 4개 섹션에 거쳐 구성됐다. 특히 책에 소개되는 작품들은 '명작은 재승인이 아니라 발견되는 것'이라는 저자의 철학 아래 사람들의 눈에 익숙하지 않지만 훌륭한 작품들로 엄선됐다.
독일 미술의 아버지 알브레히트 뒤러부터 낭만주의 대표 화가 카스파 다비트 프리드리히, 청기사파의 창시자 프란츠 마르크까지 익숙한 듯 낯선 독일 미술 세계로 친절한 도슨트를 자처한 저자와 함께 뛰어들어보자.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혐오 정치'와 '반혁명', 철학으로 해부하다 지난해 12월 저녁 대한민국 국회의사당 앞에서 반혁명과 혁명이 극적으로 충돌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이끄는 반란군이 계엄 선포를 통해 반혁명을 일으켰고, 반혁명 반란군의 압도적 폭력에 맞선 시민들이 맨몸으로 한국 사회와 정치의 변화를 이끌어갈 혁명을 시작한다. 윤석열 정권의 탄생부터 몰락의 순간을 철학의 시선으로 분석하는 책이 나왔다. 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신간 ‘빛의 혁명과 반혁명 사이’를 발간했다.박 교수는 지난 20대 대선부터 지난해 12월3일 벌어졌던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가결까지 결정적인 순간들을 책에 담으며 철학의 관점에서 비판하고 사유한다. 그는 ‘입틀막’ 사건을 통해 공론장의 역할을, 의대 정원 확대 정책을 통해 양적 공리주의의 함정 등을 연결짓는다.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 무등일보DB1부 '반혁명과 혁명의 충돌'은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을 통해 사고하지 않으면 누구나 악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를 통해 윤석열과 부역자들이 탄생하게 된 배경을 알아본다. 또한 그의 내란이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분석한다.2부 '윤석열 정권의 내부에서 숨 쉬던 반혁명의 기운'은 과거로 돌아간다. 2022년 진행된 20대 대선을 통한 윤석열 정권의 탄생과 윤 정부의 사건들을 해부한다. 이 과정에서 법률주의와 법치주의, 공론장의 역할, 자유의 의미 등을 설명하며 현시대에서 소통과 시민의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한다.2부와 3부 사이를 잇는 브릿지에서는 '혁명의 아침에 깨어나지 못한 철학자의 반성문'과 '한강 작가의 문학, 기억을 넘어서는 서사가 되다'라는 주제로 스스로에 대한 반성과 한강 작가의 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다.마지막 3부 '반혁명을 이겨낼 혁명을 위하여'는 윤석열 탄핵 이후 '빛의 혁명'을 완수하기 위한 우리 사회의 과제들을 제시한다. 제7공화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역할과 혐오의 정치를 넘어 우정의 정치로 가기 위한 방법, 한반도의 평화를 이룩하기 위한 철학적 분석이 담겼다.박구용 전남대 철학과 교수는 전남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뷔르츠부르크대학교에서 철학 학사 박위를 받았다. 교수이자 강연자로서 '매불쇼', '다스뵈이다', '겸공' 등 다양한 방송 활동도 활발히 펼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유의 폭력', '우리 안의 타자' 등을 펴냈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광주 문학단체와 출판사 문예지 겨울호 발간
- · "역사·지형적 특성 기인한 문학의 보고"
- · "청년 예술인 창작활동 지원 주력할 것"
- · 한 마을에서만 다섯···거장들 감수성 기른 '문향'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