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진도 등 다도해와 연결
철로 통한 타 지역 교류 활발
"역사적, 지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목포는 한국 문단의 거장들을 연이어 배출할 수 있습니다."
홍미희 목포시청 문학지원팀장은 유난히 목포에서 한국 문단의 거목들이 많이 배출된 까닭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목포는 근현대기 김우진을 시작으로 박화성, 김진섭, 차범석, 천승세, 최하림, 김지하, 김현 등으로 문학의 맥을 이어왔다. 홍 팀장은 이같은 명맥의 배경에는 목포의 역사적, 지형적 특징이 자리한다고 말했다.
식민시절 대표적 개항지였던 목포에는 물자가 모여 들었고 그만큼 경제적으로 여유가 넘치던 지역이었다. 이에 따라 유학생이 모이고 출판 문화가 융성하는 등 풍부한 경제적 토대 위에서 문학 뿐만 아니라 미술, 소리 등의 문화예술이 꽃필 수 있었다.
또 목포는 지형적으로 다른 도시와는 다르게 타 지역과의 연결이 잦은 도시였다. 신안, 진도 등 다도해의 많은 섬과 연결될 뿐만 아니라 철로를 통한 목포 주변의 나주, 광주 지역과의 교류가 활발했으며 인근의 무안, 강진, 해남 등의 지역과도 인접해 도시 간의, 인재 간의 교류가 목포에서 활발히 이뤄질 수 있었다. 이에 목포 출생이 아니더라도 목포를 기반으로 활동한 작가들 또한 많아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목포는 목포문학관을 위시로 문학 도시의 위상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문학 자원들을 기반으로 도시에 활력을 선사하는 다양한 프로젝트 등을 펼치고 있다. 동시에 대중과 문학의 접점을 만들고 문학을 활성화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목포는 정형화된 행사보다 새로운 기획을 시도하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2023년 목포문학박람회 때 선보인 '신진·청년작가 출판 오디션', 매회 다른 테마로 선보이는 시월애 문학여행 등이 그렇다.
홍 팀장은 "목포는 목포의 문학적 자원을 꿰어내 문학을 활성화하고 목포 문학을 더욱 널리 알리는데 있어 전국적으로 시도되지 않았던 새로운 방식의 관련 행사를 기획하고 운영하고 있다"며 "지자체로서 최초로 선보인 문학박람회가 그런 예이고 지난해 선보인 골목길문학축제 또한 마을 공간을 활용한 축제로, 문학 관련 행사로는 거의 처음이나 다름 없는 시도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많은 문인을 배출한 북교동 일대는 작가 생가나 작품 배경을 활용해 살아 있는 문학관으로 변모할 계획이다"며 "문학관으로 디자인된 북교동은 방문객 등으로 활기가 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홍미희 팀장은 문학 박사이자 학예연구사 출신으로 지난 2007년 목포문학관 개관을 함께한 이후 계속해서 목포문학관을 담당하고 있다.
김혜진기자 hj@mdilbo.com
-
"동화는 동심을 끄집어내 인간을 이해시키는 장르" 동화는 다양한 문학장르 중 의미와 상징이 풍부하고 분명하며 효과적으로 짤 짜인 이야기이자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는 분야로 '모험 플롯'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장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이성자 동화작가는 최근 '국제PEN 광주' 22호에 실린 '뜻밖의 선물, 아동문학에서 찾아라- 모험 플롯의 전형은 동화'라는 소논문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그는 "그림 형제가 수집한 '세 가지 말'은 모험 플롯의 원형적 모형"이라며 "독자들의 초점은 아들이 떠나는 것, 즉 여행에 맞춰지는데 아들이 많은 것을 배우고 보다 인간답게 사는 방법을 배울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 기다리는 것이 얼개"라고 주장했다.그는 효과적 모험 플롯 창조를 위해 주인공과 힘께 모험을 떠날 것과 흥미로운 상황에 관심을 집중할 것, 설득력의 결정 요소는 믿음, 주인공과 모험 자체를 즐길 것 등을 주문했다.또 "동화 속 모험 이야기는 시간의 연결고리와 다음에 주어지는 사건에 주된 관심을 보인다"며 "이는 등장인물의 정신적 측면을 고양시키는 내면의 인식이나 성찰 등은 일부러 보이지 않고 다만 이야기의 과정을 보여주는 장소가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이어 "소설을 동화로 각색한 조나단의 '걸리버 여행기'에서도 인간을 작게 또는 크게 확대해 들여다볼 때 그 불완전함과 역겨움 등을 충분히 표현했다"며 "이처럼 동화 속 모험 이야기에서는 사건이 벌어지는 장소에 대한 설득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각, 청각, 후각의 감각까지를 완전하게 제공하며 결국 모험 이야기는 사건이 벌어지는 장소에 푹 빠져 함께 여행을 즐기며 인간을 이해하는 틀을 제공한다"고 역설했다.그는 "동화 속에서는 인간이 소유하고 있는 동심을 불러내어 인간에 대한 고민을 찾는다"며 "오늘날처럼 복잡한 세상을 이해하려면 사물의 본질을 들여다보는 통찰력이 필요한데 그 비판력과 통찰력은 결국 인문학적 훈련을 통해 강화될 수 있으며 인문학의 기본은 아동문학에서 출발한다"고 피력했다.이성자 작가는 영광에서 태어나 명지대 대학원 문예창작과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아동문학평론 신인상, 동아일보신춘문예와 어린이문화신인대상 문학부문에 당선됐다. 우리나라 좋은동시문학상, 한국아동문학상계몽아동문학상, 눈높이아동문학상, 한정동아동문학상, 방정환문학상 등을 수상했고 지은 책으로는 '너도 알 거야', '키다리가 되었다가 난쟁이가 되었다가' 등 다수가 있다.최민석기자 cms20@mdilbo.com
- · 정감과 사유의 조화···'가사'를 논하다
- · "광주서 '세계문학축전' 개최하자"
- · 북토크·북스테이···'동네 사랑방' 자리매김
- · '제2의 한강 꿈꾸는 예비작가들 다 모여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