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오롯이 되살리기 위한 움직임이 본격화됐습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5개원 중 민주평화교류원 공간인 옛 전남도청 일원이 1980년의 시공간으로 복원돼 박물관(가칭 5·18민주화운동 현장기념)으로 전환 될 예정입니다.
국민들은 물론 세계시민들의 관심과 발길을 붙들어 매기 위해서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성공적 운영과 함께 새롭게 선보일 박물관 구성이 핵심 요소가 될 전망입니다.
하드웨어적 복원보다 박물관 콘텐츠 구성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국내 역사와 건축, 인문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전시콘텐츠에 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습니다.
오는 14일 오후 2시 전일빌딩245 4층 중회의실에서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구현을 위한 전문가 초청 세미나가 개최됩니다.
이번 세미나는 새 박물관의 전시 콘텐츠 방향성을 모색하는 자리로 관련 전문가들의 강연을 토대로 시의회와 5·18 관련 단체, 문화계, 언론계 등 시민사회의 전문적이고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자리입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예술경영의 1세대로 꼽히는 박신의 경희대 교수와 이동기 강원대 평화학과 교수가 발제에 나서 각각 '5·18기념공간의 역할과 전시콘텐츠 기획 방향' '행위자 관점의 5·18민주화운동 전시와 기억'을 주제로 발표합니다.
이어 박구용 전남대 교수의 사회로 패널 토론이 진행됩니다. 김한결 전남대 교수, 백종옥 미술생태연구소장, 정다은 광주시의원, 조진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 홍인화 5·18민주화운동기록관 관장, 조덕진 무등일보 주필 등이 토론자로 참여합니다.
세계사적 공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심도깊은 논의의 장이 되도록 시민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주최= 옛전남도청복원협의회
▲주관= 문화체육관광부 옛전남도청복원추진단
▲후원= 무등일보
-
[알림] 아침시평 필진, 새로워집니다 무등일보의 명사 칼럼인 '아침시평' 필진이 오늘부터 새롭게 바뀝니다.각 분야에서 최고의 명성을 쌓아온 10명의 전문가들이 매주 월요일 한차례 깊이있는 전문 지식과 통찰로 각종 현안에 대해 명쾌한 해법을 제시할 것입니다.아침시평 필진으로는 지난 1년 동안 지역과 국내외 여러 현안에 대한 올바른 길을 제시해준 구길용 뉴시스 광주전남본부대표, 김기태 전 호남대 교수를 비롯해 김병인 전남대 사학과 교수, 김항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이광이 작가, 이욱연 서강대 인문대학장, 임혜지 재독 건축사학자, 조경완 역사와 언론연구소장, 하상복 목포대 정치언론학과 교수, 한선화 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원장이 새롭게 합류합니다.이번에 합류하는 필진들은 전문가의 눈으로 지역사회의 각종 이슈와 정책에 대해 비판과 대안을 제시할 것입니다.특히 탄핵 정국에 이은 조기 대선 가능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정치권과 사회 각계각층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따뜻한 통찰과 새로운 메시지로 깊은 울림을 줄 '아침시평'에 독자 여러분의 변함없는 성원과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 · [알림] 고향사랑기부제 시즌3
- · [무등일보 1만호] 디뎌온 길도 디뎌갈 길도 헛되지 않게···
- · [알림] 무등일보 홈페이지 개편
- · [알림] 제26회 무등예술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