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1서 다큐멘터리 3부작 방영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이 한국교육방송공사(EBS), 유네스코아태무형유산센터(ICHCAP)와 함께 공동기획·제작한 '위대한 유산, 남아시아'가 오는 11일과 12일, 18일 밤 10시 45분 EBS 1TV에서 방영된다.
'위대한 유산, 남아시아'는 아시아 무형문화유산의 보호와 증진을 위해 사라져가는 남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을 기록한 특집 다큐멘터리로 총 3부작으로 구성됐다.
이번 '위대한 유산, 남아시아'는 세 기관 간 협력의 네 번째 결과물이다. 네팔,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등 남아시아 3개국의 무형문화유산을 기록한 다큐멘터리로 각국의 정부와 NGO, 교육기관 등과 협력해 2년간 조사와 촬영을 진행했다.
먼저 오는 11일 첫 방송되는 1부 '담벼락에 그린 전설-네팔 미틸라 회화'는 전설로만 남은 '미틸라 왕국'에서 전해 내려오는 독특한 벽화 문화 '미틸라 회화'를 다룬다. 네팔 남부 자낙푸르 지역에서 네팔 힌두교의 큰 축제인 '티하르 축제'를 앞두고 가족들과 마을 사람들이 협력해 미틸라 회화를 그리고, 전통축제 티하르를 즐기는 5일간의 모습을 생생하게 담았다. 이어 12일 방송되는 2부 '오늘도 무대 위에서-스리랑카 줄인형극 루카다 나트야'는 지난 201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된 '루카다 나트야' 공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마지막으로 오는 18일 방송되는 3부 '기후위기를 이겨낸 물 위의 농장-방글라데시 수상 농장'은 방글라데시의 전통 농업 방식인 '수상농업'을 통해 기후변화 속에서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실현하는 지역 사회의 지혜와 노력을 조명한다.
매력적인 남아시아의 무형문화유산을 기록한 EBS 특집 다큐멘터리 '위대한 유산, 남아시아' 3부작은 EBS 누리집에서 다시 보기도 가능하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이강현 전당장은 "'위대한 유산' 프로젝트는 ACC가 조사와 연구, ICHCAP은 국가별 전문가 네트워크 구축, EBS는 영상 촬영과 프로그램 제작을 맡아 각 기관의 전문성을 결합했다"며 "도시화와 서구화 속에서도 명맥을 이어가는 아시아문화유산의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기획됐으며 단순한 다큐멘터리 방영을 넘어 ACC의 전시와 교육 사업에도 다양하게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김아영 작가 수상전 관람객 8만명 '북적' 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 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전시가 폐막 한 달을 앞두고 있다.게임엔진과 생성형 인공지능(AI)를 활용한 다채널 영상을 활용해 시공간을 넘나드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다룬 30여분의 스토리를 그려낸 이번 전시에만 8만여명의 관람객들이 다녀가며 그 인기를 실감케하고 있다.13일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에 따르면 ACC 최대 전시관인 복합전시1관(1천560㎡ 규모)을 가득 채운 김아영 작가의 신작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가 오는 2월16일 폐막한다.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지난 5일 기준 8만118명이 다녀간 이번 전시에서 김 작가는 서구 근대화 과정에서 사라진 수많은 전통적 역법과 시간관에 주목했다.시간과 역법의 공용화는 근대화와 글로벌화 과정에서 발생한 제국주의와 정치권력의 상호작용과 관계한다.작품은 서구 근대화 이후 사라져가는 여러 문화권의 전통적 우주론과 시간 체계를 소환하며, 이를 현대미술의 내러티브로 복원하려는 작가의 시도를 3채널 대형 영상에 담아냈다.김 작가는 역사와 정치 등 근현대사에 관삼이 많으며, 실재와 환영, 미래의 도상들을 담은 영상, 퍼포먼스 등을 통해 국내·외 예술계에서 큰 주목을 받는 인물로 손꼽히고 있다.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전편인 '딜리버리 댄서의 구'에서 가상 세계 속 서울을 질주하며 시간 지연 현상과 내비게이션의 미로에 빠졌던 두 주인공인 에른스트 모와 엔 스톰은 이번 작품에서 새로운 가상 도시에 놓인다. 에른스트 모는 우연히 소멸된 것으로 알려진 과거의 시간관이 담긴 유물들을 배달하게 되면서, 서로 다른 시간관과 세계 사이를 오가는 사회의 충돌과 갈등을 파고든다. 전시 제목에서 '선(Arc)'은 해시계와 작품 속 달력 판의 곡선, 호의 형태를 차용한 것으로 시간선을 상기함과 동시에 시간과 공간, 인간과 역사, 탈주하는 공간을 연결하는 통로를 연상시킨다.김아영 작가의 '딜리버리 댄서의 선: 인버스' 작품 속 장면. ACC 제공'인버스(Inverse)'는 반비례의 관계를 뜻하거나 물리학에서 속도의 역수로서 시간을 암시하는데, 긴박한 속도의 경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또 다른 시공간과 그 간극에 수많은 세계가 서로 공존하고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AI를 활용한 제작과정에서 생성된 미사용 이미지를 1분30초간 무작위로 상영하는 '파열의 구간'은 매 전시마다 다른 른 화면이 상영되며 관람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앞서 해당 작품을 보기 위한 국내·외 미술계 인사들의 방문도 잇따랐다. 영국 서펜타인 갤러리 예술감독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와 베를린 신국립미술관장 클라우스 비센바흐, 영국 미술평론가 루이자 벅, 도쿄 모리미술관장 마미 카타오카 등이 '꼭 봐야할 전시'로 꼽거나 SNS에 관람 후기를 남기기도 했다.김아영 작가 프로필 사진. ACC 제공김 작가는 지난해 ACC 미래상을 수상하며 이번 전시 기회를 얻었다. ACC 미래상은 ACC가 혁신적인 미래가치와 가능성을 확장한 창조적 예술 언어의 생산자를 발굴하기 위해 제정한 융·복합 예술 분야 수상제도다. ACC는 새로운 예술적 사고와 가능성을 제시하는 작가 1인(팀)을 선정해 지난해부터 격년제로 수상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2회 수상자는 2026년 선정된다.ACC를 방문하면 김 작가의 전시 외에도 다양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구본창: 사물의 초상' 포스터. ACC 제공지난 2015년 고 박조열 작가가 ACC에 기증한 '오장군의 발톱'과 '토끼와 포수' 등 희곡 초고를 비롯한 각종 저술과 다수의 공연 기록물을 전시하는 '박조열과 오장군의 발톱' 전시는 3월23일까지 아시아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2에서 관람할 수 있으며, 세계적인 아시아 현대미술 거장을 소개하는 개인전 형식으로 새롭게 탈바꿈한 ACC 포커스에 초대된 '구본창: 사물의 초상' 전시는 3월30일까지 복합전시 3·4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박조열과 오장군의 발톱' 포스터. ACC 제공한편 김 작가는 '딜리버리 댄서의 구' 작품으로 2023년 오스트리아의 '프리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뉴 애니메이션 아트 부문 골든 니카상을, 일본의 제37회 '이미지 포럼 페스티벌' 테라야마 슈지상을 수상했다. 또 2019년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후원작가, 2015년 문화체육관광부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을 수상했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대중성·화제성' 두마리 토끼 잡는다
- · 시민참여 행사·굵직한 전시···관객 발길 '유혹'
- · '모두의 도원' 전시, 중국 팬심 잡는다
- · 아시아·K-문화 선도···'핫스팟' 자리잡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