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청원 독려 등 공감대 형성 목적
합천군에 항의서한 전달 검토 중
5·18민주화운동 학살의 주범으로 꼽히는 전두환씨를 미화한 경남 합천군 '일해(日海)공원'의 명칭을 다시 변경하기 위해 광주 지역사회도 힘을 모으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12일 12·12 군사반란일에 맞춰 5·18단체 및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일해공원을 방문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일해공원은 지난 2004년 8월 합천군이 68억원 들여 조성한 공원이다. 조성 당시 이름은 '새천년 생명의 숲'이었으나, 2007년 1월19일 합천군 군정조정위원회가 합천군 출신인 전두환씨의 아호 '일해'를 따서 이름을 일해공원으로 변경했다.
일해공원에 세워진 표지석에는 앞부분에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이, 뒷부분에는 '이 공원은 대한민국 제12대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러운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하고자 대통령의 아호를 따서 일해공원으로 명명하여 이 표지석을 세웁니다'라는 글이 전두환씨의 친필로 새겨져 있다.
합천군은 현재까지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을 고시하지 않고 임의로 사용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17년째 공원 명칭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합천군 시민·사회단체 10곳이 지난 2019년부터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를 결성하고 명칭 변경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이해관계 때문에 공론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 2021년 12월에는 운동본부가 '생명의 숲으로 이름을 돌려달라'는 내용의 청원을 접수하자 이를 반대하는 일부 주민들이 공원 명칭 변경 불가 청원서를 제출하는 맞불을 놨다.
또 이듬해에는 '합천군 일해공원 지명위원회'가 2차례 열렸으나 명칭 변경 결정이 모두 보류됐으며, 지난해 6월 다시 열린 지명위원회에서 명칭 변경이 부적합하다고 결론이 나왔다. 지난 7월에도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 공론화를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운동본부는 지난달 15일에도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에 "중대한 범죄를 저질러 사법부로부터 유죄선고를 받은 자에 대해서는 기념물을 조성할 수 없도록 법률을 제정해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올렸다. 청원이 받아지려면 등록 30일째인 오는 15일까지 5만명 이상 동의해야 하지만 이날 오후 5시 기준 8천659명만 동의했다. 이에 재단은 일해공원 명칭 변경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이번 방문을 결정했다.
현재 5·18 공법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진보연대, 광주전남대학민주동우회협의회,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등 8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이 잡힌 것은 아니지만 일해공원에 도착해 운동본부와 함께 국민들에게 청원을 독려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합천군청으로 이동해 군청 앞에 심어진 전두환씨 기념식수를 제거하는 퍼포먼스를 펼칠 계획이다. 합천군에 항의서한 전달도 검토 중이다.
재단 관계자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전두환씨는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를 받을 수 없고 받아서도 안 된다. 합천군은 출생지역이라는 이유로 그(전두환)를 미화하기보다 그가 저지른 범죄를 기억해야 한다"며 "굴곡진 역사를 곧게 펴지 않으면 생각지도 못한 사이 퇴행의 싹을 틔우게 된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을 위한 청원에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안장 공간 부족 국립5·18민주묘지, 참배광장 묘역 조성으로 확장 유력 23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관 세미나실에서 '국립5·18민주묘지 신묘역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렸다. 국립5·18민주묘지 신묘역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회가 열린 23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관 앞에서 공법단체 5·18민주유공자유족회 회원들이 확장을 반대하고 있다. 안장 공간이 부족한 국립5·18민주묘지 확장을 위해 참배광장에 묘역을 조성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국립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는 23일 오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 민주관 세미나실에서 '국립5·18민주묘지 신묘역 기본구상 및 타당성 조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현재 1·2묘역으로 분리된 5·18민주묘지를 1묘역 중심으로 하나로 통합하는 신묘역 조성에 대한 검토 결과를 발표했다.전반적인 방향은 1묘역 전면부 시설 재배치를 통한 확장이다. 분리돼있는 1묘역과 2묘역을 연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2묘역을 확장하는 것도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이에 용역업체는 부지검토 등을 거친 결과 참배광장에 묘역 3천900기를 새롭게 조성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내다봤다.함께 들여다봤던 1묘역 뒤쪽 산지는 경사가 높고 산지를 훼손해야 해서 가능성을 낮게 봤으며, 5·18민주묘지 입구 주차장 부지는 공간은 충분하지만 위상을 따져봤을 때 적절하지 않다고 봤다.또 유영봉안소와 역사광장은 철거 시 각각 1천100기와 2천400기 정도만 조성 가능해 대안으로 불가능하다고 봤다.다만 현재 방안으로 묘역을 확장하려면 5·18 기념식 등 대규모 행사를 위한 공간 마련이 필요한 상태다. 민주광장 일대에서 최대 750명까지 수용할 수 있지만 5·18 기념식 때는 해마다 1천명 이상 참석한다.김범태 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장은 "2묘역에 누워계신 유공자분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해소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며 "묘역 확장을 시기적으로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 말했다.반면 일부 유가족들은 5·18민주묘지관리사무소가 묘역 확장을 추진하면서 유가족들의 의견을 수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양재혁 공법단체 5·18민주유공자유족회장은 "5·18민주묘지를 좋게 하는 일에 유가족들도 모두 동의한다. 문제는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추진했다는 점이다"며 "분열을 초래하는 독단적 추진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글·사진=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5월 단체 "이 땅에 다시는 내란 없도록 단죄해야"
- · 5·18기록관 신축 수장고 설계용역 코앞
- ·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기대 못 미친 이유는, '부실한 사례조사'
- · 문체부, 5·18 상징 옛 전남도청 화재 재발 방지 대책 마련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