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청원 독려 등 공감대 형성 목적
합천군에 항의서한 전달 검토 중
5·18민주화운동 학살의 주범으로 꼽히는 전두환씨를 미화한 경남 합천군 '일해(日海)공원'의 명칭을 다시 변경하기 위해 광주 지역사회도 힘을 모으고 있다.
5·18기념재단은 오는 12일 12·12 군사반란일에 맞춰 5·18단체 및 광주지역 시민·사회단체와 함께 일해공원을 방문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고 3일 밝혔다.
일해공원은 지난 2004년 8월 합천군이 68억원 들여 조성한 공원이다. 조성 당시 이름은 '새천년 생명의 숲'이었으나, 2007년 1월19일 합천군 군정조정위원회가 합천군 출신인 전두환씨의 아호 '일해'를 따서 이름을 일해공원으로 변경했다.
일해공원에 세워진 표지석에는 앞부분에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이, 뒷부분에는 '이 공원은 대한민국 제12대 전두환 대통령이 출생하신 자랑스러운 고장임을 후세에 영원히 기념하고자 대통령의 아호를 따서 일해공원으로 명명하여 이 표지석을 세웁니다'라는 글이 전두환씨의 친필로 새겨져 있다.
합천군은 현재까지 일해공원이라는 명칭을 고시하지 않고 임의로 사용하는 중이다.
이 때문에 17년째 공원 명칭을 놓고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합천군 시민·사회단체 10곳이 지난 2019년부터 '생명의 숲 되찾기 합천군민운동본부(이하 운동본부)'를 결성하고 명칭 변경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지역사회 이해관계 때문에 공론화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 2021년 12월에는 운동본부가 '생명의 숲으로 이름을 돌려달라'는 내용의 청원을 접수하자 이를 반대하는 일부 주민들이 공원 명칭 변경 불가 청원서를 제출하는 맞불을 놨다.
또 이듬해에는 '합천군 일해공원 지명위원회'가 2차례 열렸으나 명칭 변경 결정이 모두 보류됐으며, 지난해 6월 다시 열린 지명위원회에서 명칭 변경이 부적합하다고 결론이 나왔다. 지난 7월에도 문제 해결을 위해 주민 공론화를 추진했으나 실패했다.
운동본부는 지난달 15일에도 국민동의청원 홈페이지에 "중대한 범죄를 저질러 사법부로부터 유죄선고를 받은 자에 대해서는 기념물을 조성할 수 없도록 법률을 제정해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올렸다. 청원이 받아지려면 등록 30일째인 오는 15일까지 5만명 이상 동의해야 하지만 이날 오후 5시 기준 8천659명만 동의했다. 이에 재단은 일해공원 명칭 변경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이번 방문을 결정했다.
현재 5·18 공법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광주진보연대, 광주전남대학민주동우회협의회,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 등 8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일정이 잡힌 것은 아니지만 일해공원에 도착해 운동본부와 함께 국민들에게 청원을 독려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합천군청으로 이동해 군청 앞에 심어진 전두환씨 기념식수를 제거하는 퍼포먼스를 펼칠 계획이다. 합천군에 항의서한 전달도 검토 중이다.
재단 관계자는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전두환씨는 전직 대통령으로서의 예우를 받을 수 없고 받아서도 안 된다. 합천군은 출생지역이라는 이유로 그(전두환)를 미화하기보다 그가 저지른 범죄를 기억해야 한다"며 "굴곡진 역사를 곧게 펴지 않으면 생각지도 못한 사이 퇴행의 싹을 틔우게 된다. 일해공원 명칭 변경을 위한 청원에 함께 해주길 바란다"고 호소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5·18기록관 신축 수장고 설계용역 코앞 광주시가 포화 상태에 이른 5·18민주화운동기록관 신축 수장고를 짓기 위한 설계용역을 앞두고 있다.14일 광주시에 따르면 광주시는 지난 2020년 12월 '5·18기록물 보존시설 확충사업' 일환으로 5·18기록관 신규 수장고 신축 사업을 추진했다.당시 동구 금남로에 있는 5·18기록관 수장고의 만고율이 90%에 육박했다는 분석이 나와서다. 이날 기준 수장고 만고율은 95%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신축되는 수장고는 서구 치평동 5·18교육관 인근 1만4천199㎡부지에 연면적 6천300㎡ 규모(지하 1층·지상 3층)로 지어진다.광주시는 이달 중 설계공모 운영위원회를 구성해 오는 2월 신축 수장고 설계 공모를 추진할 계획이다. 총사업비는 433억200만원(국비 150억6천400만원·시비 282억3천800만원)이다. 이 중 용역비는 10억3천500만여원으로 추산된다.설계 공모와 심사가 5월까지 마무리되면 1년여간 용역을 진행, 이후 착공에 나설 예정이다.광주시 관계자는 "5·18기록물을 철저하게 관리해 미래 세대에게 오롯이 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 '옛 전남도청' 전시콘텐츠 기대 못 미친 이유는, '부실한 사례조사'
- · 문체부, 5·18 상징 옛 전남도청 화재 재발 방지 대책 마련
- · 검증된 자료만 전시?...옛 전남도청 보도검열관실 복원 논란
- · 옛 전남도청 복원추진단, 도경찰국 본관 안전진단 실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