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향서 수준 높은 연주 '호평'
14일 오후 7시30분 전대 민주마루
392회 정기연주회 'Unison' 개최
20세기 서양 음악사 대표작 선봬

광주시립교향악단(이하 '광주시향')이 새로운 지휘자와 함께 아름다운 선율로 시민 곁을 찾는 뜻깊은 음악회가 열린다.
광주시향은 오는 14일 오후 7시30분 전남대 민주마루에서 392회 정기연주회 'Unison(유니즌)'을 개최한다.
이번 연주회는 최근 광주시향의 14대 예술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취임한 이병욱 지휘자와 함께하는 첫 무대이다.
이 지휘자는 지난달 23일부터 2027년 1월22일까지 2년간의 임기로 광주시향의 상임지휘자로 선임됐다. 그는 지난 2018년부터 6년간 인천시립교향악단 음악감독 겸 상임지휘자로 재직하며 수준 높은 연주를 통해 많은 관객들에게 사랑을 받았다. 이 지휘자는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국립음대 지휘과 석사 과정을 수석 졸업하고 전문 연주자 과정과 박사과정을 수료했으며 KBS교향악단, 서울시립교향악단, 독일 슈투트가르트 체임버 오케스트라 등 국내·외 유수의 교향악단과 작품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연주회의 부제인 'Unison'은 조화롭게 하나로 어우러지는 연주를 뜻한다. 공연은 이병욱 지휘자의 경험과 음악적 통찰을 바탕으로 광주시향과의 여정의 첫 장을 펼치는 작품으로 구성됐다. 20세기 서양 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작곡가들의 대표작을 조화로운 선율로 선사한다.
무대의 막을 올리는 곡은 하차투리안의 스파르타쿠스 모음곡 2번 중 '스파르타쿠스와 프리기아의 아다지오'다. 하차투리안이 1954년 작곡한 '스파르타쿠스' 중 일부이며 소련 시대 대표적 발레 음악으로 평가받는 곡이다.
주인공인 스파르타쿠스와 그의 연인인 프리기아의 사랑, 이별의 아픔을 서정적인 멜로디로 표현했다. 웅장한 오케스트라의 아름다움과 함께 아다지오(느린 악장)로 감정의 깊이를 표현한다.

이어 김다미 바이올리니스트와 함께 차이콥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를 연주한다. 그의 제자이자 연인이었던 바이올리니스트 요시프 요시포비치 코데크에게 헌정하기 위해 작곡한 곡이었으나, 코데크에게 초연을 거절당하고 아돌프 브로드스키에 의해 1881년 처음 연주됐다.
난이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알려진 곡이기도 하다. 차이콥스키가 곡을 발표할 당시 바이올리니스트 중 연주가 가능한 사람을 찾기 어려웠을 정도로 모든 분야의 정교한 테크닉을 요한다.
이날 연주회의 대미를 장식하는 곡은 스트라빈스키의 '불새 모음곡'이다. 러시아의 작곡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1910년 28세의 나이에 작곡한 곡으로, 20대 무명 작곡가였던 그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게 된 작품이다. 20세기 발레 음악의 걸작으로 손꼽히며 스트라빈스키 특유의 개성이 잘 드러나지 않는 모음곡이기도 하다.
작품은 슬라브 민담에 나오는 불새를 모티브로 한다. 곡의 줄거리는 마왕 '불멸의 코셰이'의 나라에 들어선 이반 왕자가 마왕의 성에 있는 황금사과를 먹기 위해 불새를 잡으며 펼쳐지는 이야기다. 불새의 애원에 왕자는 새를 풀어주고, 답례로 불새를 불어낼 수 있는 깃털을 받은 후 마왕을 물리쳐 구출한 열세 공주 중 한 명과 백년가약을 맺는다.

이날 무대에 함께 오르는 김다미 바이올리니스트는 2012년 독일 하노버 요아힘 국제콩쿠르 우승을 시작으로 퀸 엘리자베스, 인디애나, 센다이 등 다양한 국제콩쿠르에서 입상했다. 지난 2015년 스위스 루체른 페스티벌에서 진행된 데뷔 무대는 전석 매진됐으며 세계를 무대로 투어를 성료했다. 현재는 서울대 음대 교수로 후학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공연은 초등학생 이상 관람가로 티켓은 R석 3만원, S석 2만원, A석 1만원이며 공연 예매는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 또는 티켓링크를 통해 할 수 있다.
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광주시청서 울려퍼지는 아름다운 하모니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 무대 공연장을 벗어난 열린 공간에서 예술단원과 관객이 함께 호흡하며 바로크 시대 명곡과 한국 가곡들을 감상할 수 있는 자리가 마련된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오는 28일 오후 6시 광주시청 시민홀에서 제144회 정기공연 '비발디 글로리아'를 선보인다.이번 공연은 기존의 공연 형식을 탈피해 눈길을 끈다. 공연장이라는 무대를 벗어나 시청 시민홀에서 더욱 많은 시민과 가까이에서 호흡하며 감동의 하모니를 펼칠 예정이다. 객석과 무대의 경계를 허묾으로써 공연장이 아닌 일상의 공간에서 시민들이 보다 자연스럽게 음악을 접할 수 있다.프로그램은 총 두 스테이지로 구성됐다. 첫 번째 무대는 한국의 대표적인 가곡과 동요들을 청아하고 맑은 목소리로 전한다. '비목', '가고파', '목련화', '아낌없이 꿈을 꾸는 별', '우리들의 세상', '신비한 노을 바다' 등 목가적이고 밝은 분위기의 곡을 노래한다.이어지는 무대는 비발디 '글로리아'이다. 이탈리아 출신의 안토니오 비발디가 1715년께 작곡한 곡으로, 그의 종교 음악 중 가장 친숙하고 대중적인 작품이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글로리아'는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행해지는 미사곡의 한 부분이다. 미사 통상문 중 제2장 '글로리아'를 배경으로 작곡됐으며, '하늘 높은 데서는 하느님께 영광, 땅에서는 사람들에게 평화'라는 가사에 맞게 영광스럽고 웅장한 분위기로 연주된다.콘체르트처럼 빠르고 느림의 대비가 어우러진 기악이 특징이다. 두 명의 소프라노와 알토, 그리고 혼성 4부 합창으로 연주되며 총 열한 곡으로 구성됐다. 음악적 구성이 뛰어났음에도 불구하고 비발디의 '글로리아'는 그의 사후 1939년 이탈리아 작곡가 알프레드 카젤라가 악보를 재발견하면서 세상에 알려지게 됐다.특히 비발디 '글로리아' 공연은 바로크 분위기를 한층 높여줄 연주단과 무용수들의 협연으로 무대를 채워 의미를 더한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이날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은 바로크 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연주 단체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과 함께한다. 2016년 창단된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은 바로크 시대의 기악곡을 중심으로 선보이는 시대악기 연주 단체다. 유럽과 미국에서 세계적인 바로크 연주자들과 함께 수학한 고악기 연주자들로 구성됐으며, 단순히 바로크 음악을 연주하는 것뿐만 아니라 '역사주의 연주'를 본격적으로 선보이는 것을 지향한다. 역사주의 연주는 작품이 쓰인 당대의 시대적 근거를 바탕으로 하되 오늘날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연주법이다. 콜레기움 무지쿰 서울은 창단 이후 바로크 전문 합창단 콜레기움 보칼레 서울과 파트너십을 가지고 협연하고 있다.또한 특별출연으로 광주시립발레단의 무용수 네 명이 무대에 오른다. 비발디 '글로리아' 중 일부 곡들에 맞춰 화려하고 섬세한 무용을 선보이며 곡 특유의 우아하고 고전적인 감성을 돋워준다.권기원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상임지휘자권기원 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상임지휘자는 "문화 예술이 우리 삶 가까이에서 숨 쉬고, 시민들이 편안한 공간에서 음악과 무용이 함께하는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기획했다"며 "공연장을 찾지 않아도 일상에서 즐길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연주회인 만큼, 많은 분이 함께하길 바란다"고 전했다.광주시립소년소녀합창단 제144회 정기공연 '비발디 글로리아'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일정과 내용은 광주예술의전당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최소원기자 ssoni@mdilbo.com
- · 광주시향이 선물하는 드뷔시·드보르작
- · 오감으로 느끼는 디지털 사회의 이면
- · "폐기물 악기가 전해주는 선율 신기해요"
- · "다양한 관객 만날 수 있어 감사"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