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의동·계림1동·호남동·충장동 관할
5개팀 주·야간 24시간 365일 순찰

광주 동부경찰서 금남지구대는 동구 구도심 일대 일선 치안현장에서 주민들의 안전과 생명, 재산을 지키기 위한 치안 활동에 힘쓰는 곳이다.
화순교육지원청과 무등일보가 공동으로 주최한 1일 기자체험에 나선 화순중학교 학생기자단은 12일 오전 광주 동구 대의동 금남지구대를 찾아 지구대 경찰관이 하는 일과 사용하는 장비 등에 대해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
금남지구대는 대의동과 계림1동, 호남동, 충장동 등 총 4개 동을 담당한다. 10여명씩 5개 팀으로 구성돼있으며, 주·야간 24시간 365일 4개동 2만9천여명의 주민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킨다.
금남지구대의 하루 평균 신고 출동 건수는 40~50건에 달한다. 주간에는 교통사고 신고가 주를 이루고 야간에는 주취자(술에 취한 사람) 신고, 폭행, 절도, 가정·데이트 폭력 등 다양하다.
주간에는 주로 관할구역 내 은행, 귀금속 거리 내 금은방, 편의점을 비롯한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범죄 없는 도시를 만들기 위한 집중 순찰활동을 펼친다. 순찰 시에는 보이스피싱이나 강·절도를 비롯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홍보 활동도 함께 진행한다.
이날 학생기자단은 순찰차와, 테이저건, 무전기 등 경찰관들이 사용하는 장비들을 체험해보는 시간도 가졌다. 김예원·박민지·윤부경·조설아기자

"동구민 생명·재산 보호 위해 최선 다할 것"
광주 동부경찰서 금남지구대 최호연 경사
"동구 주민들의 안전과 생명, 재산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광주 동부경찰서 금남지구대 최호연 경사는 경찰관의 역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묻는 화순중학교 학생기자단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주민들과 가장 가까운 일선 치안현장에서 근무하는 만큼 주민들을 보호해야 한다는 것.
실제 그가 속한 금남지구대는 대의동과 계림1동, 호남동, 충장동 등 총 4개 동 2만9천여명의 주민들의 안전과 생명, 재산을 지키기 위해 24시간 365일 눈에 불을 켜고 있다.
구체적인 업무가 궁금하다는 질문에는 "주민들의 주변 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해 안전하게 지켜주는 업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경찰관으로 근무할 때 언제 보람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주민들로부터 "감사하다", "고생한다" 등의 말을 들었을 때라고 미소지었다.
경찰관이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된 이유를 묻는 질문에는 어릴 때부터 착한 일을 하는 경찰관이 존경스러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경찰관이 되기 위해서는 착한 일을 많이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최 경사는 "중요한 것은 첫째도 주민의 안전, 둘째도 주민의 안전이다"며 "주민들에게 봉사한다는 마음으로 앞으로도 열심히 임무를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김하연·신은준·정상훈·정승아기자
-
항일독립정신 굳은 의지 광주학생독립운동은 등에서 1929년 일어난 학생독립운동을 말한다.운동은 당시 일본 학생들이 나주역에서 한국 여학생들을 희롱한 사건이 발단이 됐다. 전남여고를 비롯한 광주 학생들은 일본 학생들의 폭력과 일본 당국의 탄압에 저항, 학생독립운동을 일으켰다.전남여고는 이 운동을 기념해 광주광역시 기념물 26호로 지정됐다. 전남여고에는 이후 역사관이 조성됐고 교내에는 1959년 전국적 모금운동을 통해 광주학생독립 여학도 기념비가 건립됐다. 이 기념비의 앞면에 휘호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썼고, 뒷면은 한글학자 최현배 선생의 '배달여자의 전통적인 덕행을 이어 맨손으로 왜적의 총칼에 항거해 독립의 한 길을 닦은 여학도의 절의는 곧 해의 거울이요 잘 사람의 본이다'라는 문구가 담겨 있다. 옆으로는 지난 2017년 전남여고 개교 90주년을 기념하여 건립된 여학도상이 들어섰다. 이 기념비 등은 여학생들의 항일독립정신의 굳은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김건호·김시은·김하람·심청명·정수이(서강중) 기자
- · 일제강점기 탄압·폭력 맞선 학생들
- · 광주학생독립운동 정신계승 더욱 관심을
- · 기자로 보낸 하루 "소중한 체험"
- · 생생한 기자 직업체험 유익한 시간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