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어린이 교통사고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면서 대대적인 예방 활동을 진행했지만 어린이 교통사고가 줄지 않고 있다.
특히 광주·전남지역에서도 해마다 수백 건에 달하는 어린이 교통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개선이 요구된다.
31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5년간 광주·전남 지역에서 발생한 만 13세 미만 어린이 교통사고는 광주 1천874건(사망 2명·부상 2천393명), 전남 2천233건(11명·2천848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광주는 2019년 439건(0명·586명), 2020년 365건(1명·483명), 2021년 373건(0명·451명), 2022년 351건(1명·429명), 2023년 346건(0명·444명)으로 매년 300건 이상 발생했다.
전남도 2019년 539건(6명·704명), 2020년 480건(1명·621명), 2021년 433건(2명·545명), 2022년 418건(1명·527명), 2023년 363건(1명·451명)으로 감소세를 보이긴 했지만, 여전히 해마다 많은 어린이들이 차에 치여 다치고 있었다.
실제 전날 오후 1시22분께 광주 북구 신용동의 한 아파트에서는 학교를 마치고 집으로 가던 초등학생 A(7)양이 후진하던 B 폐기물 처리 업체의 5t 쓰레기 수거차에 치여 숨져 주위의 안타까움을 사고 있다.
경찰 조사결과 이번 사고의 원인은 총체적인 안전불감증에 의한 것이었다.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에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후방영상장치 등을 설치하고, 주간(오전 6시~오후10시)작업을 원칙으로 하며, 운전자와 운전자를 제외한 작업자 2명이 한 조를 이뤄 함께 작업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그러나 B 업체와 용역계약을 맺은 쓰레기 수거차 운전자 C(49)씨는 사고 당시 홀로 작업하고 있었으며, 차에 후방영상장치와 후방감지센서가 설치돼 있었음에도 후진하는 내내 멈추지 않고 A양을 들이받았다.
C씨는 경찰 조사에서 "습관적으로 사이드미러만 보고 후진했다"고 진술했다.
하지만 B 업체는 사고 예방을 위해 법에서 정한 원칙 대부분을 지키지 않았음에도 처벌은 받지 않는다.
법에서 정한 안전수칙을 적용받는 대상은 지방자치단체 또는 지자체로부터 폐기물 처리를 대행받은 업체만 해당하기 때문이다.
B 업체는 관할 지자체인 북구가 아닌 사고가 발생한 아파트와 직접 계약을 맺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사건과 관련 시민들은 안전수칙 적용 대상을 늘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슷한 또래의 자녀를 둔 박모(38)씨는 "남일 같지 않아 매우 황망하다. 운전자 말고 차에서 내려 후진하는 것을 유도해 줄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사고였다"며 "업체가 인건비를 절감하기 위해 한 명씩 배차한 게 문제다. 우리 사회에서 이런 일이 다시는 없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김모(42)씨도 "차의 크기가 커 사각지대가 존재하는 만큼 후진할 때는 더욱 주의를 기울였어야 한다"며 "지자체로부터 대행받은 업체든, 아파트가 별도로 계약한 업체든 똑같은 일을 하는 건데 법이 참 희한하다.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갈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법적 개선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긴 설 연휴에 매출 주나··· 소상공인 한숨 15일 오후 광주 광산구 송정역 인근 한 미용실에 설 연휴 영업 안내문이 붙어있다. 정부의 27일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올 설 명절은 최소 6일의 연휴가 생긴 가운데, 황금연휴로 기뻐하는 직장인들과 달리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걱정만 늘어났다"고 깊은 한숨을 쉬었다.가뜩이나 경기 침체로 어려운 상황에서의 긴 연휴는 오히려 매출 감소, 휴일 근무로 인한 인건비 부담 등으로 이어진다는 설명이다.충장로에서 40년 이상 분식집을 운영한 김모(63)씨는 당초 설연휴 3일간 영업을 쉬려고 했으나 27일도 쉴지 정하지 못하고 있었다. 김씨는 "직원 세 명을 쓰고 있는데 27일 일하면 휴일 근무로 더 쳐줘야 한다"며 "공무원이나 일부 직장인들에게는 좋지만 우리 같은 상인들에게는 좋을 것 하나도 없는 것 같다"고 토로했다.15일 오후 광주 광산구 송정동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천유건(59)씨가 밀가루 반죽을 밀고 있다. 천씨는 "긴 연휴가 골목상권과는 전혀 상관없는 일 같다"고 푸념했다.광주 서구 상무지구 상인들은 벌써부터 설 연휴에 불어닥칠 한파에 대비하고 있다.상무지구에서 5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이모(57)씨는 설전날과 당일만 쉬기로 했다. 이씨는 "공무원과 직장인들이 쉬기 때문에 매출이 줄어들 것은 뻔하지만 그렇다고 아예 쉬면 그만큼 손해지 않나"며 "어쩔 수 없이 최소한의 휴일만 챙기기로 했다"고 말했다.송정역 인근에서 12년째 식당을 운영하는 천유건(59)씨는 원래 영업일인 토요일까지 영업 후 5일을 쉬기로 했다. 천씨는 "연휴 시작되자마자 다 밖으로 나갈 게 뻔할 것 같아 그냥 쭉 쉬기로 했다"며 "정부가 말로는 내수 경기 진작이라고 하는데 이런 골목상권이랑은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 같다"고 푸념했다.충장로에서 3년째 붕어빵집을 운영하는 장연주(29·여)씨는 연휴기간에도 영업하기로 했지만 재료 준비를 걱정하고 있었다. 장씨는 "원래대로라면 금요일에 주말 2일치, 월요일에 연휴 3일치를 준비하면 됐는데 27일 임시공휴일이 되면서 한번에 6일치를 준비해야 한다"며 "영업 도중에 재료 수급이 어려울까도 걱정된다"고 말했다.광주·전남지역 식당과 카페를 대상으로 마케팅 사업을 하는 장모(40)씨는 사라진 연말연시 특수로 인해 상인들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씨는 "경기가 좋을 때는 임시공휴일과 연휴에도 소비자들이 지갑을 열겠지만, 현 상황은 그렇지 못하다"며 "특히 12월 탄핵국면과 여객기참사로 연말연시 특수가 사라져 1월 매출에 타격을 받은 상황에서 긴 설 연휴는 도움보다는 해가 될 것 같다"고 말했다.임창균기자 lcg0518@mdilbo.com
- · 광주비상행동 "尹 체포는 시작에 불과...내란 잔당 발복색원해야"
- · '80년 계엄 경험' 광주시민들 "윤 민주주의 파괴 대가 치러야"
- · 비상계엄·제주항공 참사에 트라우마 호소하는 사람 많다
- · 최갑렬 BBS광주불교방송 사장 "불교방송 뿌리 지키며 다각형 언론 되겠다"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