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은 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긴급 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비상계엄령은 1980년 5월 전두환 신군부가 5·18민주화운동 진압 당시 선포한 이후 44년 만이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직후 광주지역 시민들은 당혹스러움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이날 밤 광주 유스퀘어(유스퀘어터미널)에 있던 시민들은 비상계엄을 선포할 만큼의 긴급한 상황도 아닌데 계엄이 선포된 게 믿기지 않는다는 반응이었다. 군부독재 시절에나 있을 법한 일이라며 분노하는 반응도 곳곳에서 목격됐다.
한밤중에 군 병력이 출동하고 헬기까지 하늘에 떠다닌 다는 소식에 많은 시민들은 공포에 떨었다.
시민들은 갑작스러운 계엄령 소식에 황당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일상적인 소음에도 사이렌 소리인 줄 알고 다들 공포에 떠는 영화속 한 장면같은 모습이 연출됐다.
김모(52)씨는 "이게 말이 되느냐. 정신 차려라"라먀 목소리를 높이면서 "어떻게 2024년에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모르겠다"고 울분을 토했다.
전모(42)씨는 "우리가 지켜낸 민주주의를 대통령이 뭔데 우리의 민주주의를 짓밟느냐"고 울분을 토했다.
시민들 상당 수는 "지금이 전두환 시대도 아닌데"라고 소리쳤다. 또 "비상계엄 철폐하라"는 구호와 함께 "계엄 해제"를 연달아 외쳤다.
전모(24)씨는 "처음에는 전쟁이 난 줄 알았다. 20대 입장에선 비상계엄령이 역사 속에서나 일어난 먼 얘기같이 느껴져 체감이 되지 않는다"며 "민주사회 이전으로 돌아가는 걸 두 눈으로 목격한 게 충격적이고 믿기지 않는다"고 한탄했다.
이모(63)씨는 "80년대에 일어났던 계엄이 생각나서 무섭기만 하다"며 공포감을 표현하면서 "너무 황당하고 갑작스러워서 손발이 떨려서 아무 생각도 나지 않는다"고 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도 분노와 당혹감에 가득찬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계엄이 선포된 게 1979년 박정희 전 대통령이 암살됐을 땐데 2024년에 계엄을 내리겠다는 게 무슨 말인가', '국회 재적의원 절반 이상이 계엄 해제를 요구하면 무조건 해제해야 하는데 무슨 생각인지 모르겠다', '탄핵 소리 좀 들었다고 계엄을 선포하는 사람이 어딨다'는 등 격앙된 반응이 쏟아졌다.
이관우기자 redkcow@mdilbo.com
-
밀리환초 강제동원 조선인 명단 최초 확인···대다수 전남 출신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13일 오전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일제강제노역 연구자 다케우치 야스토씨를 초청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일본 정부 문서를 통해 확인한 밀리환초 강제동원 피해자 640명의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강주비 기자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군에 의해 남태평양 마셜제도 밀리환초로 강제 동원된 조선인 대부분이 전남 지역 출신인 것으로 확인됐다.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13일 오전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일제강제노역 연구자 다케우치 야스토씨를 초청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일본 정부 문서를 통해 확인한 밀리환초 강제동원 피해자 640명의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이 중 635명이 전남 지역 출신인 것으로 확인됐다.밀리환초 강제동원 사건은 태평양전쟁 말기 일본군이 군사시설 건설을 위해 조선인을 군속으로 강제 징용해 남태평양 밀리환초에 투입한 사건이다. 전남에서만 800~1천여명이 끌려간 것으로 추정되며, 식량이 끊긴 고립 상황에서 일본군의 폭압과 집단 학살이 발생했다. 일부 조선인은 동료 시신을 '고래 고기'라 속여 배급한 사실을 알게 된 후 반란을 일으켰고, 일본군은 이를 이유로 대규모 총살을 자행했다.그동안 피해 규모는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았으나, 지난해 다케우치 씨가 밀리환초에서 희생된 조선인 218명의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하며 실체가 드러나기 시작했다.이번에 새롭게 공개된 명단은 기존 218명을 포함해 총 640명으로, 일본 정부가 작성한 '피징용 사망자 연명부'와 '해군 군속 신상조사표' 등을 통해 파악됐다.자료에 따르면 피해자 대부분이 담양, 나주, 무안, 해남, 강진 등 전남 각지에서 차출됐다. 명단에는 창씨개명된 일본식 이름, 생년월일, 출신지, 징용일, 사망일, 사망 원인, 동원 당시 탑승 선박명, 미지급금 등 희생자들의 구체적인 정보가 담겨 있다.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은 13일 오전 광주시의회 1층 시민소통실에서 일제강제노역 연구자 다케우치 야스토씨를 초청해 기자간담회를 열고, 일본 정부 문서를 통해 확인한 밀리환초 강제동원 피해자 640명의 명단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사진은 간담회에 참여한 남양군도 강제동원 희생자 서조왕금씨의 아들 서태석씨의 모습. 강주비 기자특히 1992년 태평양전쟁희생자광주유족회가 일본 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일명 '광주천인소송'의 원고 중 23명(피해자 기준 25명)이 밀리환초 동원자임이 이 명단을 통해 확인됐다. 광산과 구례에서는 한 집안에서 형제가 함께 동원된 사례도 드러났다.이 외에도 다케우치 씨는 일본 국립공문서관에서 발굴한 '반도공원 퀘젤린·루오트 옥쇄자 명부'도 이날 처음으로 공개했다. 명부에는 677명의 인적이 기록돼 있는데, 피해자 다수는 전남, 경기, 경상도에서 동원된 경우였다.또 괌 지역에 동원됐다가 숨진 조선인 96명의 '괌(Guam) 옥쇄자 명부' 중에서도 75명이 전남 출신으로 확인됐다.다케우치씨는"유족과 피해자의 명예회복을 위해 일본 정부는 관련 자료를 전면 공개하고, 진상규명, 유골 반환, 정신 계승이라는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대표는 "전남 지역에서만 이렇게 많은 인원이 강제동원돼 희생됐다는 사실이 구체적 문서로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며 "이제라도 진상규명과 유골 반환 등 후속조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남양군도 강제동원 희생자 서조왕금씨의 아들 서태석씨는 "아버지가 머나먼 외국 땅에서 겪었을 고통을 생각하니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아픔이 밀려왔다. 유가족 모두가 같은 마음일 것"며 "일본 정부를 생각하면 분통이 터진다. 나라가 힘이 없어 끌려간 것도 억울한데, 그 고생 끝에 결국 목숨까지 잃었다는 사실이 너무도 원통하다. 지금이라도 일본이 공식 사과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광주 시내버스 파업 재협상···합의 도출 여부 주목
- · "사라지기 전에 기억하자" 광주에 강제동원 역사관 조성 목소리
- · 광주 시내버스 파업 나흘 째···4차 조정도 합의 난망
- · 광주 시내버스 파업 사흘째...운행률 80%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