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간·차도 끝 따라 걸어
신축되는 동안 불편 계속
안전 통행 대책 마련이 절실

"장록교가 도심을 오가는 유일한 길이여서 꾹 참고 다닐 수밖에 없습니다. 안전한 보행로를 만들어 줄 수는 없는 건가요?"
광주 황룡강을 가로지르는 장록교에 보행로가 없어 인근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22일 오전 광주 광산구 도산동 장록교. 왕복 2차선 교량 위로 차들이 쉴 새 없이 지나다니고 있었다.
눈에 띄는 점은 보행자들도 차들을 피해 교량 난간 쪽에 바짝 붙어 아슬아슬하게 통행하고 있다는 것.
어린 학생부터 자전거를 탄 시민, 시장 카트 등을 끄는 고령의 노인들까지 위험을 무릅쓰고 장록교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들은 폭 50㎝가 간신히 넘는 난간 연석 위나 차도 가장자리 하얀색 실선을 따라 걸었다.
경적은 멈출 줄 몰랐으며, 부딪힐 뻔한 아찔한 상황도 자주 보였다.
송촌동 주민 김모(77·여)씨는 "시장이 있는 도심으로 가려면 장록교를 건너야 한다. 이 길이 가장 빠르다"며 "조금이나마 안전한 보행로가 있으면 좋을 것 같긴 하다"고 말했다.

장록교는 지난 1979년 개통됐다. 광산구 송촌동과 장록동에서 광주송정역과 1913송정역시장 등 광산구 도심으로 진입하는 길목이어서 평소에도 통행량이 많은 곳이다.
하지만 송정1교나 평동교 등 황룡강 위의 다른 교량과 다르게 별도의 보행로가 없다 보니 보행자들은 난간 쪽에 붙어서 다리를 통행하곤 했다.
장록교를 이용하지 않고 도심으로 향하려면 최소 3㎞이상 돌아가야 한다.
장록동 주민 백모(79·여)씨는 "돌아가려면 한참 걸린다. 위험하다는 것을 뻔히 알고 차가 지나갈 때마다 너무 아찔하지만 오래 걸으면 다리가 아프니 어쩔 수 없다"며 "다리 지을 때 양옆으로 사람들 지나갈 정도만 통로를 만들었으면 이런 불편이 없었을 텐데 화가 난다"고 했다.
주민들의 이같은 불편은 앞으로 2~3년 동안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이 추진 중인 송촌장록마을 택지개발 사업과 관련해 400억이 투입되는 장록교 신축 공사가 끝나면 보행로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신축되는 장록교는 왕복 4차선 도로로 지어지며 양쪽으로 자전거도로와 보행로가 붙는다. 예상 준공 시점은 2027년이다.
이와 관련 지역 정치인들은 주민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있는 만큼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장록교에 있는 안전시설물은 '본 교량은 인도부가 없으니 통행 시 안전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내용의 안내판이 전부기 때문이다.
국강현 광주 광산구의원 "차들이 지나다니는 위험천만한 도로 위에 안내판 하나 있다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노인일자리 사업과 연계하는 등 보행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차들을 서행시킬 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사진=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광주경찰청, 행안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 선정 광주경찰청 전경. 무등일보DB 광주경찰청이 전국 시·도경찰청 최초로 치안 추진에 공공서비스디자인 제도를 적용한다.21일 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청은 최근 2025년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디자인 사업 선정됐다. 공공디자인제도는 국민중심의 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정책과정 전반에 정책 공급자인 공무원, 정책 수요자인 국민, 서비스디자이너가 함께 참여해 정책을 디자인하는 활동이다.광주경찰은 이번 사업 선정으로, 민생과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갈수록 진화하는 '보이스피싱' 에 대한 보다 실효적인 예방 홍보 방법을 추진하기 위해 이번 지원과제를 기획할 수 있게 됐다.보이스피싱은 개인과 가정에 경제적·정신적 피해를 입히고 사회적 불신까지 초래하는 심각한 민생침해 범죄다. 경·검 등 수사기관을 비롯해 금감원 등 유관기관에서도 보이스피싱 발생 감소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지만 치밀한 수법 변화 등으로 지난해 보이스피싱 범죄는 2만839건, 피해액은 8천545억원에 이르는 등 그 피해가 여전히 심각한 수준이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경찰청 '민생범죄 점검회의'에서 "민생범죄로부터 국민을 보호할 책무는 정부에 있고, 국민이 안심하고 안전한 일상을 보낼 수 있도록 대책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하는 등 정부가 전방위적으로 보이스피싱 대응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상황이다.이에 광주경찰청 홍보담당관실과 형사과가 주도적으로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를 위해 정책기획 단계에서부터 정책 수요자인 국민이 직접 참여하여 기존 공급자 중심에서 탈피한 새로운 방식의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 시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그 중 최근 급증하는 60대 이상 보이스피싱 감소를 위해 이들을 타깃으로, 가장 많이 당하는 피해 수법인 '대출사기형'을 기본 구조로 이번 과제를 수행한다. 광주지역의 경우 2022년부터 2024년까지 60대 이상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137명이 대출사기형의 피해를 입었고, 기관사칭형 피해자(92명)가 뒤를 이었다.또 광주지역 60대 이상 피해 유형 분석을 통해 국민 디자인단을 구성, 국민 입장 실효적 보이스피싱 예방 홍보 시책을 추진할 계획이다.공공서비스디자인단은 공무원과 서비스디자이너, 정책수요자 등 이해관계자로 구성된다.박성주 광주경찰청장은 "보이스피싱 범죄는 가정과 사회를 파괴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더 안전한 광주를 만들 수 있도록 보이스피싱 피해 발생 감소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김종찬기자 jck41511@mdilbo.com
- · 운행 연한 넘은 광주 시내버스 수두룩···차량 교체 '절실'
- · 광주시민사회·5월 단체 "내란 우두머리 尹 즉각 파면이 국정 혼란 수습 지름길"
- · 의대생 휴학계 반려에도 전남대·조선대 복귀자 없어
- · 광주시, 야구 특화관광 '야구광 트립' 출시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