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송 비롯한 모든 수단 강구할 것"

광주지역 대학들이 의대생들의 조속한 복귀를 위해 집단 휴학을 불허하겠다는 기조를 학생들에게 전달했지만 복귀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20일 광주지역 대학가에 따르면 전남대학교와 조선대학교가 의대생 휴학계 반려 의사를 밝힌 이후 복귀한 의대생은 나타나지 않았다.
전날 전남대와 조선대는 의대생들이 제출한 휴학계를 반려하고, 마감 기한이 경과하면 대학은 학칙을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복귀시 유급이나 제적으로 처리하겠다는 강수를 둔 것이다.
전남대 의대생은 총 893명 중 697명이, 조선대 의대생은 총 878명 중 689명이 휴학을 신청한 상태다.
조선대는 모든 휴학계를 반려했고, 같은 상황에 놓인 전남대는 21일까지 휴학계 반려를 마무리 할 예정이다. 전남대는 24일, 조선대는 28일까지 복귀하지 않을 경우 조치를 취할 방침이다.
하지만 의대생들이 돌아올지는 불투명하다. 복귀할 명분이 부족하다는 분위기다. 학생들 대부분은 요지부동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전국 의대생들은 공동 성명서를 내고 휴학원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의대생들은 성명서를 통해 "의과대학을 의사를 만드는 공장으로 생각하는 교육부의 행태에 유감이다. 학생들은 휴학할 권리가 있다"며 "휴학계 처리 과정에 있어 부당한 처우를 당한다면, 소송을 비롯한 모든 수단을 강구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같은 분위기를 감지한 대학들도 적절한 조치를 위해 고민 중이다.
대학 관계자는 "우선 학생들 복귀가 우선이다. 하지만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학사일정에 차질이 없도록 방법을 검토 중이다"며 "편입 등 여러가지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기한까지 상황을 보고 대안책을 세울 계획이다"고 밝혔다.
한경국기자 hkk42@mdilbo.com
-
"보람으로 못 버텨" 광주 특수교육실무사들 처우 개선 촉구 4월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광주 지역 특수교육실무사들이 열악한 처우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전국교육공무직본부 광주지부 특수교육실무사분과는 18일 성명을 내고 "특수교육실무사는 '보조'라는 낙인과 차별을 겪고 있다"며 "방학이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조차 사라지고, 산재로부터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다. 수당은 지역마다 들쑥날쑥 제각각"이라고 지적했다.단체는 특수교육대상자가 매년 증가하고 통합교육이 확대되는 현실을 반영해 국가 차원의 책임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교육부의 '2024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특수교육대상자는 11만5천610명에 달한다. 이 중 73.7%인 8만5천220명이 일반학교에 통합돼 있다. 특수학급 수도 1만9천582개로 증가하는 등 통합교육이 강화되고 있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할 실무 인력은 한시적 채용에 그치고 지역별 수당 격차나 방학 중 비근무 등 구조적인 차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특수교육실무사들은 화장실, 운동장, 급식실 등 학교 전역에서 장애학생을 전방위로 지원하지만, 법적으로는 '교사 지시에 따른 보조 역할'로만 규정돼 실질적 역할과 제도 사이의 괴리가 크다는 비판도 나온다.단체는 "특수교육은 제도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사람으로 완성된다"며 "정책은 쏟아지지만, 그 정책을 실현할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특수교육지원 인력을 별도로 배치하겠다고 밝혔지만, 예산은 배정되지 않았고 교육청은 손을 놓고 있다"고 꼬집었다.13년차 김태경 특수교육지도사는 "동료 한 명은 얼린 물통에 맞아 뇌진탕 치료를 받았고, 또 다른 동료는 큰 남학생을 지원하다가 깨물려 허벅지 살을 떼어 피부 이식 수술을 받았다"며 "최소한 정부 당국이라도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어 "보람으로만 버티라 하지 마라"면서 "약한 아이들 곁일수록 더 안전하고 더 풍성해야 하며, 연대와 연결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국가의 교육복지 책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단체는 특수교육 재정 및 인력 확충,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개정, 방학 중 무급·수당 격차 해소, 산재법 전면 적용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채수준 목포해경서장, 관내 파출소 치안현장 점검
- · "장애인도 시민이다"···광주 거리에 울린 '차별 철폐' 외침
- · 조선대 MT 중 성희롱·성추행 의혹
-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기억의 움직임들 분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