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적 가치 높고 관광활용 요소 多
'친일 논란'에 향토문화유산 추진 중단
붕괴 위기에도 광주시·자치구 '난 몰라'

역사적 가치가 높은 광주 남구에 위치한 '최부잣집'이 제대로 된 관리를 받지 못한 채 수십 년째 방치되고 있다. 가옥 한쪽 벽이 무너져 내리는 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다른 고택이나 가옥과는 다르게 소유자간 갈등과 행정적 문제, 여기에 친일 논란까지 복잡하게 얽혀 있어 애꿎은 시간만 흘러가고 있는 상황이어서 대책마련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25일 방문한 광주 남구 사직동 '최부잣집'은 마치 폐가를 연상시키는 듯한 낡은 모습이 고스란히 노출돼 있었다.
우뚝 솟아 있는 2층 안채의 지붕, 특히 추녀마루라고 불리는 모서리 부분이 크게 부서져 천을 덧대놓은 상태였으며, 지붕을 지탱하는 서까래 나무 곳곳에는 푸른 곰팡이가 생기기까지 했다. 나무로 만들어진 난간 역시 희게 삭아 만지면 금방이라도 부서질 듯해 보였다.
안채 옆에 자리잡은 헛간의 상태는 더욱 심각했다. 칸칸이 구분된 벽 한쪽은 세월을 이기지 못하고 무너져 내부가 훤히 들여다 보이는 상태였고, 아직 무너지지 않은 벽 한편 또한 겉포장이 모두 벗겨지고 바깥을 향해 툭 튀어나온 채 위태로운 상태로 남아 있었다. 말 그대로 언제 무너져도 이상하지 않아보였다.
집을 지키는 돌담도 마찬가지였다. 새로 지어진 벽돌담과 함게 혼재된 흙돌담은 금이 가고 기대면 스러질 듯 보였다.

이런 위태로운 상태에 놓인 '최부잣집'이지만, 현재까지 관리는 전무한 상태다.
개인 사유 건물과 교육부 소유 토지가 혼재해 생긴 갈등 때문에 지금까지도 문화재 지정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구 압촌동 고원희가옥이 1987년 시도문화유산에 지정되고, 남구 양림동의 이장우가옥과 최승효가옥이 1989년 시도문화유산에 지정된 것과 비교되는 모습이다.
이런 상황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지난 2022년 남구 주도로 최부잣집 가옥에 대한 향토문화유산 신규 지정의 움직임이 있었지만, 이 역시 최상현(1880~1945)씨의 친일 흔적 논란이 불거지자 시민사회의 반대로 인해 잠정 중단된 상태다.

남구 관계자는 "토지와 건물 소유주간 갈등 뿐 아니라, 공동소유자의 상속 문제도 존재해 현재 중재를 거치는 중"이라며 "행정이 개입해 보수나 정비할 근거를 만들기 위해 향토문화유산 지정을 추진하기도 했지만, 최씨의 행적 논란에 대해 시민사회단체의 반대가 심해 모두 중단됐다"고 말했다.
오영순 남구의회 의원은 "해당 최부잣집의 경우 건축 당시 최고급 자재와 혼합형 주택구조를 채택했고, 내부에도 독특한 방 구조를 지니는 등 역사적 가치와 관광자원으로 활용가치가 무궁무진하다고 생각한다"며 "과거 소유주의 행적 때문에 건축물 자체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게 된 현 상황이 아쉬울 따름"이라고 토로했다.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석좌교수는 "건물의 가치를 측정할 때 건축사적 가치와 인물의 가치를 고려하곤 한다"며 "논란이 있는 인물의 공과 과를 명백히 하면 될 노릇임에도, 광주시와 시민사회, 자치구 모두 여론에 매몰돼 그 속에 숨겨진 가치를 발견하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천 교수는 이어 "문화도시를 표방하는 광주에서 이런 근대문화유산을 중요히 여긴다면 소유주에 대한 큰 보상을 통해 주택을 매입해 관리 보수하거나, 전남대 관리부서와의 중재를 통해 적극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런 움직임이 보이지 않는 것에서 너무나도 큰 안타까움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차솔빈기자 ehdltjstod@mdilbo.com
-
"보람으로 못 버텨" 광주 특수교육실무사들 처우 개선 촉구 4월20일 '장애인의 날'을 앞두고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의 교육활동을 지원하는 광주 지역 특수교육실무사들이 열악한 처우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전국교육공무직본부 광주지부 특수교육실무사분과는 18일 성명을 내고 "특수교육실무사는 '보조'라는 낙인과 차별을 겪고 있다"며 "방학이면 최저임금에도 못 미치는 기본급조차 사라지고, 산재로부터도 제대로 보호받지 못한다. 수당은 지역마다 들쑥날쑥 제각각"이라고 지적했다.단체는 특수교육대상자가 매년 증가하고 통합교육이 확대되는 현실을 반영해 국가 차원의 책임과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교육부의 '2024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특수교육대상자는 11만5천610명에 달한다. 이 중 73.7%인 8만5천220명이 일반학교에 통합돼 있다. 특수학급 수도 1만9천582개로 증가하는 등 통합교육이 강화되고 있지만, 정작 이를 뒷받침할 실무 인력은 한시적 채용에 그치고 지역별 수당 격차나 방학 중 비근무 등 구조적인 차별에 놓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또 특수교육실무사들은 화장실, 운동장, 급식실 등 학교 전역에서 장애학생을 전방위로 지원하지만, 법적으로는 '교사 지시에 따른 보조 역할'로만 규정돼 실질적 역할과 제도 사이의 괴리가 크다는 비판도 나온다.단체는 "특수교육은 제도로만 완성되지 않는다. 사람으로 완성된다"며 "정책은 쏟아지지만, 그 정책을 실현할 인력이 부족한 게 현실이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특수교육지원 인력을 별도로 배치하겠다고 밝혔지만, 예산은 배정되지 않았고 교육청은 손을 놓고 있다"고 꼬집었다.13년차 김태경 특수교육지도사는 "동료 한 명은 얼린 물통에 맞아 뇌진탕 치료를 받았고, 또 다른 동료는 큰 남학생을 지원하다가 깨물려 허벅지 살을 떼어 피부 이식 수술을 받았다"며 "최소한 정부 당국이라도 안전 대책을 마련하고 실질적인 지원에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이어 "보람으로만 버티라 하지 마라"면서 "약한 아이들 곁일수록 더 안전하고 더 풍성해야 하며, 연대와 연결로 이어져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국가의 교육복지 책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단체는 특수교육 재정 및 인력 확충, 특수교육법 시행규칙 개정, 방학 중 무급·수당 격차 해소, 산재법 전면 적용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강주비기자 rkd98@mdilbo.com
- · 채수준 목포해경서장, 관내 파출소 치안현장 점검
- · "장애인도 시민이다"···광주 거리에 울린 '차별 철폐' 외침
- · 조선대 MT 중 성희롱·성추행 의혹
- · "진실은 침몰하지 않는다" 기억의 움직임들 분주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