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엔 다시 평균 1만여세대 회복할 듯

광주 지역의 올해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이 지난해보다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 민간공원과 정비사업 대단지 준공에 따른 입주량 증가에 앞서 올해 광주는 '공급 골짜기의 해'가 될 전망이다.
광주·전남 대표 부동산 플랫폼 '사랑방 부동산'이 올해 광주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을 조사한 결과, 총 5천801세대가 집들이를 시작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해 9천여 세대보다 약 -36% 줄어든 수치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광주의 연평균 아파트 입주량(준공실적)은 1만74세대로, 올해 입주량은 그의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또한 가장 입주량이 적었던 2023년(4천415세대)에 이어 두 번째로 적은 공급이 이루어지는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치구별 입주예정물량은 ▲광산구 2천25세대 ▲남구 1천467세대 ▲서구 1천296세대 ▲북구 587세대 ▲동구 426세대 등이다.
광산구는 3월 '라펜트 힐'(72세대) 입주 예정을 시작으로 '수변공원 진아리채'(598세대), 4월 '선운2지구 A-1 공공분양'(828세대)과 '선운2지구 A-3 공공분양'(396세대), 5월 '신창 유탑유블레스 리버시티'(131세대) 등이 예정돼 있다.
남구는 1월 '한국아델리움57 봉선더힐'(29세대)을 시작으로, 3월 '봉선 남양휴튼3차'(304세대)와 '월산두산위브'(320세대) 그리고 방림동 오네뜨하이브(199세대), 7월 '더 퍼스트 데시앙'(565세대), 12월 '한국아델리움57 디오브'(23세대)와 '한국아델리움57 봉선노블리티'(27세대)가 준공될 예정이다.
서구에서는 올해 가장 큰 단지인 상무 센트럴자이(903세대)가 4월 입주를 예고하고 있으며, 1월 '화정 골드클래스 2차'(138세대), 2월 '광주 상무 퍼스티넘 스위첸'(226세대), 12월 '상무2차 한국아델리움57 하이엔드'(29세대) 등이 순차적으로 새 주인을 맞게 된다.
북구에서는 2월 '센트럴운암 모아엘가 트레뷰'(303세대), 4월 '산이고운 신용PARK'(265세대), 12월 '에테르 한국아델리움57'(19세대) 등이 입주 예정이며, 동구에서는 8월 '무등산 한국아델리움더힐 1단지'(251세대)와 '아르티엠 더퍼플'(175세대)가 입주를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광주 아파트 입주물량은 2026년 다시 증가할 예정이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지 아파트들과 재개발·재건축 대단지들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준공 절차에 들어가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예정된 내년 입주량은 1만441세대여서 정상 진행된다면 최근 10년 평균치인 1만 세대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최근 부동산PF 이슈와 건설 차질 문제로 각 단지별 현장의 준공일자와 입주시기는 어느 해보다 변동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특히 신규 분양 시장은 더욱 불확실성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일단 재개발(신가·학동4구역 등)과 민간공원(수랑공원 등) 단지를 비롯해, 전남·일신방직 부지 아파트 등 1만 세대가 넘는 일반분양 물량이 대기 중이다. 다만 청약수요 감소와 미분양 증가때문에 현 시점에서 분양시기를 확정하는 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최현웅 사랑방부동산 과장은 "올해 입주량 감소는 2021~2022년 조정대상지역 규제로 신규분양과 착공 물량이 크게 줄었던 게 주요 원인"이라며 "신규 입주량 감소는 최근 오름세인 전세 가격의 상승을 부추길 순 있다. 다만 매매는 내년 입주량이 다시 1만 세대 규모로 증가가 예고된 상황이고, 시중에 팔리지 않은 매도 물량도 많아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상황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2.06% 줄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부 제공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2.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지난해보다 하락폭은 축소된 -0.66%를 기록했다.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7개 시도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를 비롯한 10개 시·도는 하락 전환 또는 하락세를 이어갔다.13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1천558만여 호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지난해 1.52%에 비해선 높고 공시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변동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평균 공시지가 상승은 사실상 7.86% 오른 서울이 주도했다.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은 지역인 경기로 3.16%를 기록했으며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충북 0.18%, 충남 0.01% 등순으로 상승했다.반면 광주를 비롯한 대구, 부산, 대전, 세종 등 10개 시도는 하락했다.세종이 -3.28%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대구 -2.90%, 광주 -2.06%, 부산 -1.66%, 대구·경북 -1.40%, 대전 -1.30%, 제주 -1.23%, 경남 -1.03%, 전남 -0.66%, 강원 -0.07% 등 순이다.평균가격은 광주는 줄고 전남은 늘었다.광주의 경우 2021년 1억 5천888만 6천 원이던 평균가격이 2022년 1억 8천16만 7천 원으로 올랐다가 이후 1억 6천808만 6천 원, 1억 6천468만 4천 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그보다 더 낮아진 1억 6천444만 6천 원으로 떨어졌다.전남은 같은 기간 1억 241만 8천 원에서 1억 1천113만 5천 원으로 올랐다가 1억 137만 3천 원으로 줄어든 뒤 1억 145만 7천 원, 1억 428만 5천 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중위값도 마찬가지다.광주 도심 전경.광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1억 3천500만 원을, 전남은 2년 연속 상승한 8천330만 원을 기록했다.공시가격별 분포에선 광주는 48만 2천71호 중 1억 원에서 3억 원 이하가 전체 52.84%에 달하는 25만 5천93호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하(17만 2천700호)가 35.7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전남은 43만 2천945호 중 58.51%인 25만 3천325호가 1억 원 이하였으며 1억 원~3억 원 이하는 39.84% 수준인 17만 2천511호였다.이번 공시가격안은 해당 공동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부동산가격 알리미'에서 열람할 수 있다.의견이 있는 경우 내달 2일까지 의견서를 온라인 또는 각 지자체 민원실, 한국부동산원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국토부는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30일 공시할 예정이다.한편 광주 공동주택은 아파트 46만 1천717호, 연립주택 1만 1천964호, 다세대주택 9천32호이며 전남은 아파트 40만 2천997호, 연립주택 1만 8천487호, 다세대주택 1만 1천461호 등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올해 더 늘어날까
- · 광주 아파트 청약...올해도 어려움 계속되나
- · 불경기 속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 100% 분양완료 '화제'
- · 활발하던 광주 분양권 거래···탄핵정국 이후 거래 '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