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가격은 지난해 10월부터 상승세 ‘지속’

최근 2년간 하락세를 이어온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이 올해도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하락폭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지만 이렇다 할 반등요소가 아직 나오지 않으면서 지난해부터 계속돼 온 약보합세 양상이 지속되는 모양새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1월 둘째 주 광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0.05%)보다 하락폭이 감소한 0.03% 하락했다.
전국적으로는 같은 기간 (-0.03%) 대비 하락폭이 확대되면서 0.04% 하락했다.
지난해 아파트 매매가격의 상승장을 이끌었던 서울(0.00%→0.00%)과 수도권(-0.02%→-0.03%)이 보합 또는 하락폭이 커지면서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는 지방(-0.05%→-0.05%)과 함께 전반적인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
광주도 지난 2년간 누적 변동률은 -6.87%로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세부적으로 동구 (-0.03%→-0.06%)와 남구(-0.05%→-0.06%), 광산구(-0.02%→-0.04%)는 하락폭이 커졌으며 서구(-0.06%→-0.01%)와 북구(-0.05%→-0.03%)는 하락폭이 감소했다.
규모별로는 전용면적 40㎡이하 소형아파트의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40㎡이하의 경우 지난주 -0.08%에서 -0.16%으로 하락폭이 컸으며 102㎡초과~135㎡이하(0.01%→-0.05%)와 135㎡초과(0.01%→-0.05%)도 상승에서 하락으로 전환됐다.
60㎡초과~85㎡이하 (-0.06%→-0.06%)는 하락폭이 유지됐으며 85㎡초과~102㎡이하(0.04%→0.02%)는 상승폭이 줄었지만 상승세는 계속 이어졌다.
지난해 10월 둘째 주부터 상승세를 이어온 전세가격은 올 들어서도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누적상승률 0.34%를 기록하며 소폭 상승한 전세가격은 1월 첫째 주 0.03%에 이어 둘째 주에도 0.02% 상승을 기록했다.
동구 (0.03%→0.02%), 서구 (0.04%→-0.03%), 남구 (0.01%→0.01%), 북구 (0.01%→0.01%), 광산구 (0.08%→0.04%) 등 하락 전환 없이 전반적인 상승세는 계속 이어졌다.
실거래 역시 여전히 상승거래보단 하락거래 비중이 높은 상황이다.
광주·전남 대표 부동산 플랫폼 사랑방부동산이 국토교통부 실거래 현황 분석 결과를 보면 최근 1주일간 아파트거래 299건 중 상승거래는 132건(44.15%)인 반면 하락거래는 151건(50.50%)으로 절반을 웃돌았다. 보합거래는 16건(5.35%)였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2.06% 줄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부 제공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2.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지난해보다 하락폭은 축소된 -0.66%를 기록했다.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7개 시도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를 비롯한 10개 시·도는 하락 전환 또는 하락세를 이어갔다.13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1천558만여 호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지난해 1.52%에 비해선 높고 공시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변동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평균 공시지가 상승은 사실상 7.86% 오른 서울이 주도했다.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은 지역인 경기로 3.16%를 기록했으며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충북 0.18%, 충남 0.01% 등순으로 상승했다.반면 광주를 비롯한 대구, 부산, 대전, 세종 등 10개 시도는 하락했다.세종이 -3.28%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대구 -2.90%, 광주 -2.06%, 부산 -1.66%, 대구·경북 -1.40%, 대전 -1.30%, 제주 -1.23%, 경남 -1.03%, 전남 -0.66%, 강원 -0.07% 등 순이다.평균가격은 광주는 줄고 전남은 늘었다.광주의 경우 2021년 1억 5천888만 6천 원이던 평균가격이 2022년 1억 8천16만 7천 원으로 올랐다가 이후 1억 6천808만 6천 원, 1억 6천468만 4천 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그보다 더 낮아진 1억 6천444만 6천 원으로 떨어졌다.전남은 같은 기간 1억 241만 8천 원에서 1억 1천113만 5천 원으로 올랐다가 1억 137만 3천 원으로 줄어든 뒤 1억 145만 7천 원, 1억 428만 5천 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중위값도 마찬가지다.광주 도심 전경.광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1억 3천500만 원을, 전남은 2년 연속 상승한 8천330만 원을 기록했다.공시가격별 분포에선 광주는 48만 2천71호 중 1억 원에서 3억 원 이하가 전체 52.84%에 달하는 25만 5천93호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하(17만 2천700호)가 35.7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전남은 43만 2천945호 중 58.51%인 25만 3천325호가 1억 원 이하였으며 1억 원~3억 원 이하는 39.84% 수준인 17만 2천511호였다.이번 공시가격안은 해당 공동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부동산가격 알리미'에서 열람할 수 있다.의견이 있는 경우 내달 2일까지 의견서를 온라인 또는 각 지자체 민원실, 한국부동산원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국토부는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30일 공시할 예정이다.한편 광주 공동주택은 아파트 46만 1천717호, 연립주택 1만 1천964호, 다세대주택 9천32호이며 전남은 아파트 40만 2천997호, 연립주택 1만 8천487호, 다세대주택 1만 1천461호 등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올해 더 늘어날까
- · 광주 아파트 청약...올해도 어려움 계속되나
- · 불경기 속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 100% 분양완료 '화제'
- · 활발하던 광주 분양권 거래···탄핵정국 이후 거래 '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