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수요 낮은 상황서 효과 미지수 전망도
“주택시장 양극화 심화 우려도…상황 지켜봐야”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한해 '1 가구 1 주택 특례'를 적용키로 한 정부 대책이 지역 주택 시장에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이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선 오랜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해 투자수요가 사실상 없는 상황에서 '악성 미분양' 해결을 위한 투자 수요 형성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22일 지역 부동산업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8일 올해부터 1 주택자가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구입 시 양도·종부세를 산정할 때 1 가구 1 주택 특례를 적용키로 했다
비수도권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취득자의 경우 전용면적 85㎡및 취득가액 6억 원 이하 주택을 대상으로 취득할 경우 다주택자가 아닌 '1 주택 보유자'로 보겠다는 의미다.
또 종부세 1세대 1 주택자 판정 시 주택수에서 제외하는 지방 저가주택 범위를 공시가격 3억 원 이하에서 4억 원 이하로 확대하는 등 지방 부동산 시장의 활성화를 꾀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이 같은 정책을 두고 건설업계는 환영하는 분위기다.
지역의 악성미분양주택 상당수가 분양가 6억 원 미만인 데다 선호하는 규모 역시 전용면적 85㎡(약 34평)라는 점에서 미분양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광주 악성미분양은 415세대이며 전남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2천452대에 이른다.
여기에 준공 전 미분양 역시 광주는 1천242세대, 전남은 3천631세대에 달하고 있어 큰 변화가 없을 경우 광주·전남 모두 '준공 후 미분양'인 악성 미분양이 지금보다 더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부동산업계에선 2월 예정인 관련법규 개정안 시행령 시행이 돼봐야 실효 여부를 알 수 있을 거라는 분위기다.
부동산 투자를 이끌어내는 방식으로 미분양 주택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은 알지만 투자 수요가 임대 목적이 아닌 시세 차익이 있어야만 형성된다는 점에서 현재의 지방 주택시장이 그만한 메리트를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선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
또 이번 정책이 여유 있는 다주택자를 대거 양성하겠다는 의미기도 해 일종의 '부익부 빈익빈', 양극화 현상이 더욱 심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정부대책이 큰 실효성을 가질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며 "미분양주택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는 점에서 공감은 하지만 지방주택들이 과연 시세차익을 노릴 수 있을 정도로 주택 가격 상승 요소가 남아있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광주의 경우 미분양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데 최근 아파트 분양가가 대부분 6억 원을 훌쩍 넘기는 경우도 많아 실질적인 거래로 이어지려면 분양가 할인 등이 이뤄져야 그 기준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며 "상황을 지켜봐야 정책 실효성 여부를 알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2.06% 줄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부 제공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2.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지난해보다 하락폭은 축소된 -0.66%를 기록했다.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7개 시도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를 비롯한 10개 시·도는 하락 전환 또는 하락세를 이어갔다.13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1천558만여 호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지난해 1.52%에 비해선 높고 공시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변동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평균 공시지가 상승은 사실상 7.86% 오른 서울이 주도했다.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은 지역인 경기로 3.16%를 기록했으며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충북 0.18%, 충남 0.01% 등순으로 상승했다.반면 광주를 비롯한 대구, 부산, 대전, 세종 등 10개 시도는 하락했다.세종이 -3.28%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대구 -2.90%, 광주 -2.06%, 부산 -1.66%, 대구·경북 -1.40%, 대전 -1.30%, 제주 -1.23%, 경남 -1.03%, 전남 -0.66%, 강원 -0.07% 등 순이다.평균가격은 광주는 줄고 전남은 늘었다.광주의 경우 2021년 1억 5천888만 6천 원이던 평균가격이 2022년 1억 8천16만 7천 원으로 올랐다가 이후 1억 6천808만 6천 원, 1억 6천468만 4천 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그보다 더 낮아진 1억 6천444만 6천 원으로 떨어졌다.전남은 같은 기간 1억 241만 8천 원에서 1억 1천113만 5천 원으로 올랐다가 1억 137만 3천 원으로 줄어든 뒤 1억 145만 7천 원, 1억 428만 5천 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중위값도 마찬가지다.광주 도심 전경.광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1억 3천500만 원을, 전남은 2년 연속 상승한 8천330만 원을 기록했다.공시가격별 분포에선 광주는 48만 2천71호 중 1억 원에서 3억 원 이하가 전체 52.84%에 달하는 25만 5천93호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하(17만 2천700호)가 35.7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전남은 43만 2천945호 중 58.51%인 25만 3천325호가 1억 원 이하였으며 1억 원~3억 원 이하는 39.84% 수준인 17만 2천511호였다.이번 공시가격안은 해당 공동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부동산가격 알리미'에서 열람할 수 있다.의견이 있는 경우 내달 2일까지 의견서를 온라인 또는 각 지자체 민원실, 한국부동산원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국토부는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30일 공시할 예정이다.한편 광주 공동주택은 아파트 46만 1천717호, 연립주택 1만 1천964호, 다세대주택 9천32호이며 전남은 아파트 40만 2천997호, 연립주택 1만 8천487호, 다세대주택 1만 1천461호 등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올해 더 늘어날까
- · 광주 아파트 청약...올해도 어려움 계속되나
- · 불경기 속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 100% 분양완료 '화제'
- · 활발하던 광주 분양권 거래···탄핵정국 이후 거래 '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