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평균 경쟁률 1.96:1…일부평형 집중
“결과 지켜봐야 하지만 완판 어려울 수도"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광주지역 올해 첫 분양이 예고돼 있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해 민간공원 특례사업 분양 건 외 일반 분양이 5건에 불과할 정도로 청약시장이 침체를 겪었다는 점에서 올해 첫 분양 성적표도 그리 밝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3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광산구 하산동에 들어서는 '한양립스 에듀포레'가 오는 3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4일 1순위, 5일 2순위 청약을 실시한다.
지주택으로 추진된 한양립스 에듀포레는 총 470세대 중 118세대를 일반분양한다.
특히 전 세대가 전용면적 84㎡형(약 34평)과 89㎡형(약 35평) 등 2가지 평형으로 구성돼 있는 데다 평당 분양가도 광주지역 평균 분양가(지난해 12월 기준) 1천871만 원보다 낮은 1천600만 원선에 형성돼 있다.
여기에 계약금 5%, 중도금 무이자 등으로 기존 분양보다 상당한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업계에선 아파트 분양성적에 대해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
'간장게장거리'로 유명한 동곡동 일대에 들어서는 한양립스 에듀포레 위치가 평동산단과 나주 혁신도시를 아우르는 위치인 데다 송정역, 광주공항 등과도 접근성이 좋다는 점은 장점이지만 광주 전체적으로 봤을 때 외곽이나 다름없는 위치가 실수요층의 선택을 이끌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는 것이다.
여기에 최근 광주지역 청약 성적표가 그리 좋지 않다는 점에서 이번 청약도 완판여부는 불투명하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광주지역 청약은 10개 단지 8천276세대로 대부분 민간공원 특례사업 분양으로 이뤄졌다.
평균 청약경쟁률(1·2순위 합계) 1.96:1이었지만 일부 평형과 특정 아파트에 쏠림 현상이 나타나면서 사실상 대다수 아파트가 '미달'이나 다름없는 성적표를 받아야만 했다.
지난해 큰 기대를 모았던 중앙공원 롯데캐슬 시그니처와 운암자이포레나 퍼스티체, 힐스테이트 중외공원 등도 대부분 국민평형인 84㎡형에만 집중됐을 뿐 다른 평형의 경우 대다수 미달됐다.
또 특례공원과 대규모 재개발사업인 운암자이포레나 퍼스티체를 제외한 일반 청약만으로 한정하면 499세대 모집에 306명이 접수, 평균 경쟁률 0.61:1에 그쳤다.
광주 청약 성적의 기준점이었던 '대규모 단지, 1군 브랜드'도 통하지 않을 정도로 청약시장은 침체를 겪어야만 했다.
1군 브랜드도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지역 브랜드 업체들도 청약 일정을 잡지 못하거나 사업을 중단하면서 올해 청약 예정 물량도 예년의 절반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역의 한 업계 관계자는 "경기침체로 인해 그동안 지역 내 청약 성공 공식이나 다름없던 대단지, 1군 브랜드도 먹히지 않고 있다"며 "지역 내 실수요층의 관망세가 계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올해 첫 분양이 어떤 성적을 거둘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다. 이왕이면 좋은 결과가 있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2.06% 줄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부 제공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2.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지난해보다 하락폭은 축소된 -0.66%를 기록했다.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7개 시도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를 비롯한 10개 시·도는 하락 전환 또는 하락세를 이어갔다.13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1천558만여 호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지난해 1.52%에 비해선 높고 공시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변동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평균 공시지가 상승은 사실상 7.86% 오른 서울이 주도했다.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은 지역인 경기로 3.16%를 기록했으며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충북 0.18%, 충남 0.01% 등순으로 상승했다.반면 광주를 비롯한 대구, 부산, 대전, 세종 등 10개 시도는 하락했다.세종이 -3.28%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대구 -2.90%, 광주 -2.06%, 부산 -1.66%, 대구·경북 -1.40%, 대전 -1.30%, 제주 -1.23%, 경남 -1.03%, 전남 -0.66%, 강원 -0.07% 등 순이다.평균가격은 광주는 줄고 전남은 늘었다.광주의 경우 2021년 1억 5천888만 6천 원이던 평균가격이 2022년 1억 8천16만 7천 원으로 올랐다가 이후 1억 6천808만 6천 원, 1억 6천468만 4천 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그보다 더 낮아진 1억 6천444만 6천 원으로 떨어졌다.전남은 같은 기간 1억 241만 8천 원에서 1억 1천113만 5천 원으로 올랐다가 1억 137만 3천 원으로 줄어든 뒤 1억 145만 7천 원, 1억 428만 5천 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중위값도 마찬가지다.광주 도심 전경.광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1억 3천500만 원을, 전남은 2년 연속 상승한 8천330만 원을 기록했다.공시가격별 분포에선 광주는 48만 2천71호 중 1억 원에서 3억 원 이하가 전체 52.84%에 달하는 25만 5천93호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하(17만 2천700호)가 35.7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전남은 43만 2천945호 중 58.51%인 25만 3천325호가 1억 원 이하였으며 1억 원~3억 원 이하는 39.84% 수준인 17만 2천511호였다.이번 공시가격안은 해당 공동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부동산가격 알리미'에서 열람할 수 있다.의견이 있는 경우 내달 2일까지 의견서를 온라인 또는 각 지자체 민원실, 한국부동산원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국토부는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30일 공시할 예정이다.한편 광주 공동주택은 아파트 46만 1천717호, 연립주택 1만 1천964호, 다세대주택 9천32호이며 전남은 아파트 40만 2천997호, 연립주택 1만 8천487호, 다세대주택 1만 1천461호 등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올해 더 늘어날까
- · 광주 아파트 청약...올해도 어려움 계속되나
- · 불경기 속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 100% 분양완료 '화제'
- · 활발하던 광주 분양권 거래···탄핵정국 이후 거래 '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