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성 미분양 대폭 증가···광주 87%·전남102%↑

입력 2025.02.05. 17:46 강승희 기자
지난해 광주 415호, 전남 2천450호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비아파트 인허가 광주 53.8%·전남 70.3%↓
광주 도심 전경.

주택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준공 후 미분양된 주택을 의미하는 '악성 미분양'이 전국적으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 지역도 각각 87%, 102%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준공 후 미분양된 주택 수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2만1천480호로 전년 동기(1만857) 대비 97%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광주지역 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415호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기(221호) 대비 87.7% 증가한 수치다.

전남의 경우 전년(1천212호)동기보다 102% 대폭 증가해 2천450호가 준공을 마치고도 분양되지 못했다.

같은 기간 광주지역의 미분양 건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광주는 1천242호가 미분양 돼 전년(596건) 동기보다 108% 늘었다.

전국 미분양 주택 현황. 국토교통부 제공

전남은 3천598호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

지난 한 해 동안 공동주택 분양은 광주가 1만2천529호로 전년(9천233호)보다 35.7% 늘었다.

전남도 3천709호에서 4천825호로 3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와 비아파트를 포함한 인허가는 전년 대비 광주 53.8%(1만1천775호→5천443호), 전남 70.3%(1만9천523호→5천790호) 각각 줄어들었다.

착공한 전체주택 수의 경우 지난 1년 동안 광주가 69.3%(1만3천313호→4천82호) 줄었고, 전남이 6.2%(9천612호→1만211호) 늘었다.

전체주택에 대한 매매거래량을 살펴보면 광주는 지난해 12월 1천405건의 매매가 이뤄져 전년 동월(1천111건) 대비 26.5% 늘었지만, 전월보다는 12.4% 줄었다.

전남도 같은 기간 1천783건의 매매거래가 발생해 전년 동기(1천597건)보다 11.6% 증가했으나, 전월보다는 21.2%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광주가 6.9%(3천897건→3천627건) 줄어든 반면, 전남은 27.1%(3천431건→4천360건) 늘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1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1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