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비아파트 인허가 광주 53.8%·전남 70.3%↓

주택건설경기 침체 등으로 준공 후 미분양된 주택을 의미하는 '악성 미분양'이 전국적으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광주·전남 지역도 각각 87%, 102%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가 5일 발표한 '2024년 12월 주택 통계'에 따르면 전국에서 준공 후 미분양된 주택 수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2만1천480호로 전년 동기(1만857) 대비 97%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광주지역 내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415호로 조사됐다. 이는 전년 동기(221호) 대비 87.7% 증가한 수치다.
전남의 경우 전년(1천212호)동기보다 102% 대폭 증가해 2천450호가 준공을 마치고도 분양되지 못했다.
같은 기간 광주지역의 미분양 건도 큰 폭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12월말 기준 광주는 1천242호가 미분양 돼 전년(596건) 동기보다 108% 늘었다.

전남은 3천598호로 전년 동기 대비 0.5% 감소했다.
지난 한 해 동안 공동주택 분양은 광주가 1만2천529호로 전년(9천233호)보다 35.7% 늘었다.
전남도 3천709호에서 4천825호로 30.1%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아파트와 비아파트를 포함한 인허가는 전년 대비 광주 53.8%(1만1천775호→5천443호), 전남 70.3%(1만9천523호→5천790호) 각각 줄어들었다.
착공한 전체주택 수의 경우 지난 1년 동안 광주가 69.3%(1만3천313호→4천82호) 줄었고, 전남이 6.2%(9천612호→1만211호) 늘었다.
전체주택에 대한 매매거래량을 살펴보면 광주는 지난해 12월 1천405건의 매매가 이뤄져 전년 동월(1천111건) 대비 26.5% 늘었지만, 전월보다는 12.4% 줄었다.
전남도 같은 기간 1천783건의 매매거래가 발생해 전년 동기(1천597건)보다 11.6% 증가했으나, 전월보다는 21.2% 감소했다.
전월세 거래량은 광주가 6.9%(3천897건→3천627건) 줄어든 반면, 전남은 27.1%(3천431건→4천360건) 늘었다.
강승희기자 wlog@mdilbo.com
-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2.06% 줄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부 제공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2.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지난해보다 하락폭은 축소된 -0.66%를 기록했다.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7개 시도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를 비롯한 10개 시·도는 하락 전환 또는 하락세를 이어갔다.13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1천558만여 호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지난해 1.52%에 비해선 높고 공시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변동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평균 공시지가 상승은 사실상 7.86% 오른 서울이 주도했다.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은 지역인 경기로 3.16%를 기록했으며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충북 0.18%, 충남 0.01% 등순으로 상승했다.반면 광주를 비롯한 대구, 부산, 대전, 세종 등 10개 시도는 하락했다.세종이 -3.28%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대구 -2.90%, 광주 -2.06%, 부산 -1.66%, 대구·경북 -1.40%, 대전 -1.30%, 제주 -1.23%, 경남 -1.03%, 전남 -0.66%, 강원 -0.07% 등 순이다.평균가격은 광주는 줄고 전남은 늘었다.광주의 경우 2021년 1억 5천888만 6천 원이던 평균가격이 2022년 1억 8천16만 7천 원으로 올랐다가 이후 1억 6천808만 6천 원, 1억 6천468만 4천 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그보다 더 낮아진 1억 6천444만 6천 원으로 떨어졌다.전남은 같은 기간 1억 241만 8천 원에서 1억 1천113만 5천 원으로 올랐다가 1억 137만 3천 원으로 줄어든 뒤 1억 145만 7천 원, 1억 428만 5천 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중위값도 마찬가지다.광주 도심 전경.광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1억 3천500만 원을, 전남은 2년 연속 상승한 8천330만 원을 기록했다.공시가격별 분포에선 광주는 48만 2천71호 중 1억 원에서 3억 원 이하가 전체 52.84%에 달하는 25만 5천93호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하(17만 2천700호)가 35.7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전남은 43만 2천945호 중 58.51%인 25만 3천325호가 1억 원 이하였으며 1억 원~3억 원 이하는 39.84% 수준인 17만 2천511호였다.이번 공시가격안은 해당 공동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부동산가격 알리미'에서 열람할 수 있다.의견이 있는 경우 내달 2일까지 의견서를 온라인 또는 각 지자체 민원실, 한국부동산원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국토부는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30일 공시할 예정이다.한편 광주 공동주택은 아파트 46만 1천717호, 연립주택 1만 1천964호, 다세대주택 9천32호이며 전남은 아파트 40만 2천997호, 연립주택 1만 8천487호, 다세대주택 1만 1천461호 등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올해 더 늘어날까
- · 광주 아파트 청약...올해도 어려움 계속되나
- · 불경기 속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 100% 분양완료 '화제'
- · 활발하던 광주 분양권 거래···탄핵정국 이후 거래 '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