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분양세대 급증 등 청약시장 침체 계속 이어져
지역건설업체 광주 아파트 분양계획 사실상 전무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올해 광주 첫 분양이 저조한 성적으로 마무리되는 등 청약시장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11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한양립스 에듀포레가 지난 3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4일 1순위, 5일 2순위 청약을 실시했다.
전용면적 84㎡형 42세대와 89㎡형 69세대를 분양했지만 1순위 청약에서는 단 9명(84㎡형 6명·89㎡형 3명)이 접수를 마쳤다.
2순위 청약에서도 84㎡형 7명, 89㎡형 3명 등 10명만 접수, 1순위와 2순위 합계 청약경쟁률은 0.17대 1에 그쳤다.
지역건설업계에서는 해당 아파트가 광주로선 외곽지역인 광산구 하산동에 위치한 데다 인근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분양가 등으로 인해 실수요층들의 관심을 받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분양이 광주지역 첫 분양이었다는 점에서 올해 분양시장도 어려움이 계속될 것이라는 우려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올해 학동 4 구역(현대 노블시티)만 분양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만 나올 뿐 지역 내에서 이렇다 할 분양 자체가 전무한 상황이다.
학동 4 구역 역시 조합 측에서 올해 분양에 들어가야 한다며 분양 요구를 하고 있지만 건설사 측에서 '분양성'을 이유로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주택건설협회 광주전남도회 소속 지역건설업체들도 올해 1만 5천 세대 공급계획 중 전남에서만 1천 세대가량 분양계획을 잡고 있을 뿐 1만 4천 세대는 모두 타 지역 분양 물량이며 이중 광주 분양 계획은 잡고 있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분양시장 침체는 갈수록 늘어나는 미분양의 영향이 크다는 평가다.
지난해 12월 말 기준 광주 미분양 주택은 1천242호로 전년 대비 108% 급증했다.
여기에 악성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역시 415호로 지난해 대비 87.7% 늘어났다.
건설업계에선 이 같은 주택시장 침체를 어느 정도 해소하기 위해서는 세제감면과 대출 규제 완화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금융당국에서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한시 완화에 대해 '부동산 시장에서 수요를 촉발시켜 부동산을 띄우는 방식의 지속가능성에 대해 고민해봐야 한다'며 사실상 부정적 입장을 내비치고 있다.
하지만 대출규제 완화 외에도 세금정책 등 종합대책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미분양해소 대책의 현실화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다.
지역건설업계 관계자는 "지역 업체들이 광주에서의 사업계획 자체를 잡지 않을 정도로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며 "지역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선 현재로선 민간분야가 아닌 공공분야 밖에 기댈 곳이 없는 거나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 지난해보다 2.06% 줄었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변동률 현황. 국토부 제공 광주 공동주택 공시가격이 지난해보다 2.0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도 지난해보다 하락폭은 축소된 -0.66%를 기록했다.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을 중심으로 7개 시도는 상승세를 보였지만 광주를 비롯한 10개 시·도는 하락 전환 또는 하락세를 이어갔다.13일 국토교통부의 '공동주택 공시가격안'에 따르면 지난 1월 1일 기준으로 조사·산정한 공동주택 1천558만여 호의 공시가격은 지난해 대비 평균 3.65% 상승했다.지난해 1.52%에 비해선 높고 공시 제도 도입 이후 연평균 변동률인 4.4%보다는 낮은 수준이다.평균 공시지가 상승은 사실상 7.86% 오른 서울이 주도했다.서울에 이어 두 번째로 상승폭이 높은 지역인 경기로 3.16%를 기록했으며 인천 2.51%, 전북 2.24%, 울산 1.07%, 충북 0.18%, 충남 0.01% 등순으로 상승했다.반면 광주를 비롯한 대구, 부산, 대전, 세종 등 10개 시도는 하락했다.세종이 -3.28%로 하락폭이 가장 컸으며 이어 대구 -2.90%, 광주 -2.06%, 부산 -1.66%, 대구·경북 -1.40%, 대전 -1.30%, 제주 -1.23%, 경남 -1.03%, 전남 -0.66%, 강원 -0.07% 등 순이다.평균가격은 광주는 줄고 전남은 늘었다.광주의 경우 2021년 1억 5천888만 6천 원이던 평균가격이 2022년 1억 8천16만 7천 원으로 올랐다가 이후 1억 6천808만 6천 원, 1억 6천468만 4천 원으로 감소했으며 지난해는 그보다 더 낮아진 1억 6천444만 6천 원으로 떨어졌다.전남은 같은 기간 1억 241만 8천 원에서 1억 1천113만 5천 원으로 올랐다가 1억 137만 3천 원으로 줄어든 뒤 1억 145만 7천 원, 1억 428만 5천 원으로 2년 연속 상승했다.중위값도 마찬가지다.광주 도심 전경.광주는 2022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한 1억 3천500만 원을, 전남은 2년 연속 상승한 8천330만 원을 기록했다.공시가격별 분포에선 광주는 48만 2천71호 중 1억 원에서 3억 원 이하가 전체 52.84%에 달하는 25만 5천93호로 가장 많았으며 1억 원 이하(17만 2천700호)가 35.77%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전남은 43만 2천945호 중 58.51%인 25만 3천325호가 1억 원 이하였으며 1억 원~3억 원 이하는 39.84% 수준인 17만 2천511호였다.이번 공시가격안은 해당 공동주택이 소재한 시·군·구청 민원실 또는 '부동산가격 알리미'에서 열람할 수 있다.의견이 있는 경우 내달 2일까지 의견서를 온라인 또는 각 지자체 민원실, 한국부동산원에 서면으로 제출하면 된다.국토부는 의견청취 절차와 중앙부동산가격공시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달 30일 공시할 예정이다.한편 광주 공동주택은 아파트 46만 1천717호, 연립주택 1만 1천964호, 다세대주택 9천32호이며 전남은 아파트 40만 2천997호, 연립주택 1만 8천487호, 다세대주택 1만 1천461호 등이다.도철원기자 repo333@mdilbo.com
- · 광주 아파트 경매물건 역대 최다···올해 더 늘어날까
- · 광주 아파트 청약...올해도 어려움 계속되나
- · 불경기 속 '동래사적공원 대광로제비앙' 100% 분양완료 '화제'
- · 활발하던 광주 분양권 거래···탄핵정국 이후 거래 '뚝'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