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로 노는 광주 자전거·PM·대중교통, 통합 플랫폼이 해법

입력 2024.11.24. 17:04 이삼섭 기자
■두 바퀴路, 탄소중립 광주로 ⑥연결과 통합
대중교통 '대동맥'·자전거·PM '모세혈관' 역할…연계 '관건'
공공자전거·주차장 양적 규모 늘려야 경제·접근성 보장
자전거·PM 별도 주차장 설치 '탁상행정'…통합 플랫폼으로
광주 서구 화정동 내 '전동킥보드 안전주차장'. 한 시민이 일반 자전거를 거치해 놓은 상태다. 광주시 각 지자체들이 전동킥보드존을 만들고 있지만 PM(Personal Mobility)이 전동킥보드만 있는 것도 아닐뿐더러 자전거 주차장과 PM 주차장을 따로 만들면서 예산 낭비를 하고 있다는 비판이 강하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1. 광주 북구 거주민 강현성(29) 씨는 상무지구 인근 직장을 다니는 데 타랑께를 자주 이용한다. 1시간 이내는 비용도 없고 빌리는 것도 간편해 만족하지만 불편한 게 하나 있다. 시청 앞 버스정류장에서 타랑께 주차장까지 300m가량이나 돼 매번 걷는 게 여간 불편한 게 아니다. 김 씨는 "다 그런 건 아니지만 적잖은 타랑께 정류장이 버스정류장과 멀어 불편하다"면서 "대중교통과 연계성을 높여야 공공자전거 이용률이 높아질 것 같다"고 말했다.

#2. 전남대학교 재학생 박민지(22) 씨는 캠퍼스 안에서 눈치 안 보고 킥보드를 탈 수 있어서 만족해한다. 캠퍼스 밖에서는 전동킥보드를 타기도 힘들고 위험할뿐더러 주차할 데도 별로 없다. 그에 반해 캠퍼스는 전동킥보드 타는 게 일상적이고 단과대마다 킥보드 주차구역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박 씨는 "주차장이 많으니 학생들도 특별한 혜택이 있는 것도, 학칙이 있는 게 아닌데도 스스로 전용주차구역에 주차를 하는 것 같다"고 만족감을 드러냈다.

하나의 도시가 유기체로 본다면 도시철도와 버스는 대동맥이다. 자전거와 PM(Personal Mobility)은 모세혈관으로 유기체 중심축에서 먼 작은 곳까지 속속 이동을 담당한다.

이 같은 체계가 갖춰지려 광주 전역에 자전거·PM이 촘촘하게 깔려 있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거니와 수송능력이 큰 대중교통과 연결과 통합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자전거·PM을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대중교통과 통합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자전거를 포함한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장을 한 데서 이용할 수 있는 이른바 이동장치 통합 주차장(모빌리티 허브)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미다.

그런 측면에서 광주시의 자전거·PM 관련 행정은 연결과 통합보다는 제각각 정책과 그때그때 땜질식 처방에 치우친 모습으로 우려를 자아낸다.

◆공공자전거 확충한다지만…접근성·경제성 한계

광주시 공공자전거 '타랑께'는 2020년 7월 시작했다. 그러나 저조한 이용 속에서 수년간 존치 논란을 거듭했다. 올해 4월 타랑께 이용가능지역을 쌍촌·광천동 일대까지 확대했음에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근본적으로 상무지구를 중심으로 한 시범사업에 그쳤던 게 가장 크다. 10월 말 기준 광주시 공공자전거는 350대에 불과했다. 타랑께 대여·반납이 가능한 주차장은 101개다.

광주시는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정책 확대를 위해 타랑께 사업을 폐지하는 대신 오히려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년 시 예산 9억7천만원을 편성했다. 공공자전거 사업을 내년에는 2배가량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추가적으로 300대를 구매해 총 650대를 운용할 예정이다. 평동산단 100대, 전남대와 조선대 각각 100대씩 배치한다.

그럼에도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턱없이 부족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접근성이나 경제성 모든 면에서 특별히 나아지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다.

광주와 인구 규모나 면적이 비슷하면서도 공공자전거가 비교적 활성화돼 있다는 대전(타슈)의 경우 지난해 3월 기준 자전거 2천500대, 스테이션(전용 주차장) 1천150개소다. 그럼에도 접근성이나 경제성을 보장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했다. 대전세종연구원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연구에서는 균등한 접근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타슈 적정 규모는 자전거 9천401대, 스테이션 4천443개소다. 경제성 확보 기준으로는 자전거 5천159대, 주차장 2천445개소다.

광주 전역이 '전동킥보드' 불법 주차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PM(Personal Mobility) 주차장이 턱없이 부족한 게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대중교통 연계, 최우선으로 해야

광주시의 공공자전거와 PM 활성화를 저해하는 또 하나의 요인으로 지목된 건 대중교통 정류장과 충분히 연계되지 않은 점이다. 광주시는 올해 4월 타랑께 사업을 개편하면서 도시철도 입구와 버스정류장 중심으로 자전거 주차장을 설치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실제 무등일보가 상무지구 일대 타랑께 주차장이 설치된 곳을 살펴보자 적잖은 주차장이 버스정류장과 상당히 떨어진 곳에 있었다. 그러다 보니 시민들은 "타랑께 주차장이 왜 여깄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공공자전거뿐만 아니라 최근 지자체가 의욕적으로 전동킥보드 주차장을 설치하고 있지만, 대중교통 연결보다는 '공간 확보'가 원활한 곳 위주로 설치되면서 효용성 문제가 불거진다. 지자체가 대중교통 연결성보다는 주차장을 원활히 설치할 수 있는 곳을 선정하면서 생긴 일이다. 한 자치구 PM 부서 관계자는 "전동킥보드 주차장을 조성하려면 시민 통행에 방해되지 않는 선에서 도로 폭이 넓어야 한다"면서 버스정류장 부근 설치에 적잖은 어려움이 있다는 점도 토로했다.

광주시 도로과 관계자 또한 "공공자전거 정류장 설치 기준이 정해진 건 없다"면서도 "아파트 단지 앞이나 버스정류장처럼 이용률이 높거나 쉽게 탈 수 있는 장소를 선정해 설치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남대학교는 캠퍼스 내 자전거와 킥보드 통합 주차존을 대거 확충해 호응을 얻었다. 기존 자전거 거치대를 활용해 단기간에 70여대의 주차존을 확보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자전거 주차장 따로, PM 주차장 따로?

지자체 차원의 체계적인 PM 주차장 조성 전략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시는 PM 무단 주차를 줄이기 위해 지난해부터 개인형 이동장치 주차구역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북구지역 50개를 시작으로 올해 110개를 추가로 설치했다. 주차장 1개를 설치하는 데 50만원가량을 투입한다. 서구 화정1동은 무려 2천만원을 들여 6개를 조성했다. 하나당 330만원가량 든 셈이다.

자전거와 PM의 운용 방식이 같음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주차장 따로 PM 주차장 따로 만드는 것은 탁상행정이라는 지적이다. 예산 낭비는 물론이거니와 가뜩이나 좁은 도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타랑께 주차장을 일반 자전거는 물론, PM까지 주차할 수 있도록 한다면 예산과 편의성, 공간 효율을 모두 잡을 수 있다. 또 광주시 전역에 있는 자전거 거치대만 활용해도 단기간에 저비용으로 자전거·PM 주차장을 확보할 수 있다.

실제 전남대의 경우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70여개의 자전거·PM 공용 주차장을 설치하기도 했다. 기존 자전거 거치대를 활용해 단기간에 주차장을 확충했다.

무등일보 취재 결과 광주 도심에는 총 7천387대의 자전거를 세울 수 있는 482개의 자전거 거치대가 있다. 구별로는 동구 69개(771대), 서구 39개(401대), 남구 46개(588대), 북구 112개(1천205대), 광산구 216개(4천422대)다. 선 하나만 그으면 PM 주차장이 대폭 늘어나는 셈이다.

특히 자전거 거치대가 이미 인도에 설치돼 있어 새로 보행 불편도 최소화할 수 있다. 대부분 지하철역과 버스 정류장 주변에 설치돼 있는 만큼 대중교통 연계 문제도 쉽게 해결 가능하다.

광주시 도로과 측은 "추후 PM 주차장을 설치할 때 기존 자전거 주차장을 활용하거나, 앞으로 만들 타랑께 주차장과 연계할 수 있도록 살펴보겠다"고 말했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

박승환기자 psh0904@mdilbo.com

# 연관뉴스
슬퍼요
0
후속기사 원해요
2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

댓글2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