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향 남도문학 원류를 찾아서④-담양 인터뷰
최한선 한국가사문학학술진흥회장
"담양만의 보물인 '가사문화권'에 주목하고 이를 획기적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모색하는 일이 시급합니다."
최한선 한국가사문학학술진흥회장은 "지역에서 개최되는 중요한 문화 행사들이 예산 등의 문제로 축소되거나 좌절되는 사례를 볼 때 안타깝다"면서 "특히 가사문학은 일본이나 중국에는 없는 우리만의 독특한 문화인 만큼 꾸준히 계승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과 관련해 '선정 이유'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노벨위원회는 한강 작가의 작품이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폭로한 시적 산문'이라고 했는데, 그 '시적 산문'이 곧 가사체와 같다는 것이다.
최 회장은 춘향전, 흥부전 등 우리나라 고전 소설이나 설화가 모두 일정한 리듬을 갖고 있는 운문체였으나 언제부터인가 산문체로 변해갔다고 아쉬워했다. 그는 "가장 토속적인 언어를 구사했던 백석 같은 작가도 동화를 보면 운문체였다"면서 "한강 역시 K-문학의 전통인 리듬을 소설에 접목시켜 인정을 받은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담양이 가사문학의 산실이 된 배경에는 지리적인 요인도 한몫을 차지하고 있다.
담양은 무등산 권역에 포함돼 북풍이나 한설을 막아줄 수 있는 천혜의 여건을 갖추고 있는 지역이다. 이는 따뜻한 기후를 형성하면서 드넓은 평야를 갖추는 요인이 됐고 풍부한 물산으로 이어졌다. 또 넉넉한 물품은 후한 인심과 생활의 여유로 직결됐으며 자연스럽게 삶을 누리려는 자세와 인문학적 소양에 눈을 돌리는 바탕이 됐다.
이는 15~16세기에 무등산권을 중심으로 한시 문화가 이제 꽃을 피우는 계기였다. 담양에만 소쇄원을 비롯해 면앙정과 식영정, 환벽당 등 60여 개의 정자가 세워졌고 각 정자들은 지식인들이 교유하며 학문과 인격을 연마하는 장소가 됐다.
최 회장은 가사문학이 최근 들어 다시 조명되면서 활기를 띠고 있는 점을 긍정적인 요인으로 꼽았다.
담양군이 가사문학제, 송순문학상 등을 개최하고 있고 광주문인협회는 우리 고유의 문학인 가사문학을 세계화시키기 위해 지난 2023년 1월 전국 문협 최초로 가사문학 분과를 신설했다. 광주문협 회원 30여 명은 '광주문학' 가을 특집(통권 108호)에 가사 시, 가사 동화, 가사 수필, 가사 소설 등 다양한 갈래의 가사문학을 싣기도 했다.
최 회장은 가사문학이 K-문학의 한 축을 담당하기 위해서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만의 자산인 가사는 1만여 편이 넘는 많은 작품에 이르고 있다"고 자부심을 드러낸 그는 "새마을 운동 기록이나 5·18민주화운동 관련 기록이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만큼 가사도 하루빨리 등재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만선기자 geosigi22@mdilbo.com
-
"영랑 정신, 후대에 길이 남는 자산" 이석우 시문학파기념관 관장 "영랑 선생의 정신은 후대에까지 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 인문학적으로 윤택한 지역을 만드는 자산으로, 현대문학사 발전에 영향을 끼치는 자산으로 말입니다."지난 10일 이석우 시문학파기념관 관장은 영랑 김윤식 선생이 강진과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이처럼 말했다.특히 우리 국민이 사랑하는 문학인이자 현대시에 영향을 끼친 시인인 영랑 김윤식이 강진 출신이자 강진을 배경으로 활동한 인물인 것은 지역에 큰 자산이라고 설명했다.그는 "지금 강진은 정약용과 청자, 김영랑으로 대표된다고 할 수 있다"며 "이 세 자산을 토대로 관광 산업을 활성화할 수 있었는데 특히 김영랑 경우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문화 자산인 문학이 지역의 중요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고 밝혔다.뿐만 아니라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이 군 단위에서 진행돼 지역민이 윤택한 삶을 꾸릴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된 것도 김영랑이 남긴 커다란 자산이라 강조했다.이 관장은 "영랑생가 관련 인문학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시인학교 경우 만 60세 이상의 군민을 대상으로 펼쳐지는데 창작반, 낭송반 모두 인기가 좋다"며 "이를 통해 군민이 문학을 직접 향유하면서 체감할 수 있게 됐고 이를 통해 실제 등단한 사례도 많으며 낭송반 경우 영랑시문학상, 현구문학상 시상식 등에서 낭송 퍼포먼스를 하는 등 많은 군민이 문학을 즐길 수 있게 됐다"고 전했다.또 "시문학파기념관 경우는 시문학 동인들에 대해 알아갈 수 있어 문학애호가들에게도 호응이 좋지만 기념관 내의 북카페는 물론 전시와 버스킹이 가능한 공간 등이 운영되고 있어 군민들의 문화적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공간이 되고 있기도 하다"고 덧붙였다.마지막으로 그는 시문학파기념관에서 근무하며 관장이 아닌 시인으로서 김윤식, 김현구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었다고도 전했다.이 관장은 "나 또한 강진 출신이기도 한데 이 기념관에서 일하면서 김윤식, 김현구 시인으로부터 더 많은 영감을 얻을 수 있어 시인으로서 참 많은 깨달음과 도움을 얻게 됐다"며 "이곳에 오면서 두 사람에 대한 시만 작업하고 있다. 조만간 영랑 선생의 '장광에 물들다'에 대한 연대시를 준비하려고 한다. 굉장히 즐겁고 재밌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김혜진기자 hj@mdilbo.com
- · 우리의 아름다움 담은 시어<詩語> 흐르는 고장
- · "산고수려한 자연 환경이 밑거름 돼"
- · '한국 가사문학 산실'···700년 전통 예술혼 잇는다
- · '문불여장성'<文不如長城>··· 오늘날까지 선비 숨결 고스란히
독자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광주・전남지역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교통정보, 미담 등 소소한 이야기들까지 다양한 사연과 영상·사진 등을 제보받습니다.
메일 mdilbo@mdilbo.com전화 062-606-7700카카오톡 플러스친구 ''무등일보' '